' 아동청소년' 에 대한 통합 검색 결과 총 1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서브페이지 탭 인구 (선택됨) 가구 및 가족 보육 교육 경제활동 건강 복지 정치 및 사회참여 문화 및 정보미디어 안전 및 환경 그림으로 보는 통계(전체보기) 2020 경기도 성인지 통계 2019 경기도 시군별 성인지 통계 --> 인구 총인구 : 경기도 총인구(주민등록인구)는 남녀 모두 꾸준히 증가 경기도 총인구(남성, 여성,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여성 6,499,652명 6,579,671명 6,672,545명 6,738,152명 6,839,276명 6,855,895명 남성 6,577,501명 6,659,995명 6,754,469명 6,827,298명 6,750,156명 6,774,926명 여성비율 49.7% 49.7% 49.7% 49.7% 50.3% 50.3% 주: 외국인 제외 자료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출생아 수 및 출생성비 : 출생아 수 지속적 감소, 남아가 여아보다 약4% 많은 경향 출생아(여아, 남아, 남아출생성비)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아 43,063명 40,461명 38,114명 37,282명 36,520명 남아 45,112명 42,737명 39,623명 38,857명 38,803명 남아 출생성비 104.8% 105.6% 104.0% 104.2% 106.3% 주 : 여아 100명당 남아수 자료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가구 및 가족 성별 가구주 : 여성가구주는 5년 전보다 약 36만명 증가 성별 가구주(여성, 남성, 여성가구주 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1,353,624명 1,432,305명 1,542,065명 1,654,557명 1,721,440명 남성 3,397,873명 3,475,355명 3,556,366명 3,636,105명 3,685,523명 여성 가구주 비율 28.5% 29.2% 30.2% 31.3% 31.8% 주 : 일반가구 대상 자료 : 통계청, 인구총조사 성별 1인 가구 : 여성 1인 가구는 5년 전보다 약 20만명 증가 성별 1인 가구(여성, 남성,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550,545명 594,699명 647,934명 707,251명 752,029명 남성 647,041명 696,194명 758,076명 835,849명 882,118명 여성 가구주 비율 46.0% 46.1% 46.1% 45.8% 46.0% 주 : 15세 이상 일반가구 대상 자료 : 통계청, 인구총조사 혼인 및 이혼 : 인구 1천명 당 혼인 건수는 감소 추세, 이혼건수는 2020년 이후 감소 혼인 및 이혼(혼인건수, 이혼건수 조혼인율, 조이혼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혼인건수 66,877건 62,356건 57,814건 54,658건 54,178건 이혼건수 27,884건 28,453건 27,983건 27,256건 24,864건 조혼인율(천 명당 건) 5.2건 4.8건 4.4건 4.0건 조이혼율(천 명당 건) 2.2건 2.2건 2.1건 2.0건 1.8건 주 : 조혼인율/조이혼율 = 1년간 발생한 총 혼인/이혼건수를 당해연도 주민등록 연앙인구로 나눈 수치를 1,000분비로 나타낸 것 자료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보육 보육대상 아동 : 보육 대상 아동 수는 여아, 남아 모두 감소 추세 보육대상 아동(여아, 남아)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여아 330,543명 317,573명 300,216명 279,542명 260,207명 244,805명 남아 347,337명 333,698명 315,492명 293,242명 273,289명 256,582명 주 : 0~5세 아동 자료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일/생활균형 : 육아휴직 남성 이용 비율은 점차 늘고 있으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 남성 사용은 10% 일 생활균형 : 육아휴직의 여성, 남성, 남성비율에 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15,669명 16,386명 17,295명 16,620명 19,585명 남성 3,169명 4,250명 5,425명 5,858명 7,788명 남성비율 16.8% 20.6% 23.9% 26.1% 28.5% 일 생활균형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의 여성, 남성, 남성비율에 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704명 1,124명 2,854명 3,319명 4,026명 남성 124명 171명 353명 333명 456명 남성비율 15.0% 13.2% 11.0% 9.1% 10.2% 주 : 모성보호급여를 처음으로 지급받은 인원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EIS 고용행정통계 어린이집 이용 아동 : 전체 어린이집 이용 아동 중, 국공립 어린이집 이용률은 꾸준히 증가 어린이집 이용 아동(어린이집 이용 아동 수, 국공립 어린이집 이용 아동 수,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어린이집 이용 아동 393,149명 389,004명 358,813명 350,117명 331,516명 311,814명 국공립 어린이집 이용 아동 46,461명 56,136명 63,480명 70,403명 75,054명 80,091명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 11.8% 14.4% 17.7% 20.1% 22.6% 25.7% 자료 : 보건복지부, 보육통계 교육 평균 교육 년수 : 성별 평균 교육 년수는 비슷한 수준이나 여성이 남성보다 다소 짧아 평균 교육 년수(남성, 여성)에 관한 표 구분 2010 2015 2020 여성 10.8년 11.9년 12.4년 남성 11.7년 13.1년 13.3년 주 : 재학생, 미상 제외 자료 : 통계청, 인구총조사 전수(2020), 표본(2015, 2020) 고등교육기관의 여성교원 비율 : 고등교육기관의 여성교원 수는 등락을 반복하고 있으나 그 비율은 증가 추세 고등교육기관의 여성교원 비율(전체, 여성,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전체 15,464명 15,158명 15,002명 15,531명 14,571명 여성 5,734명 5,688명 5,692명 5,984명 5,692명 여성비율 37.1% 37.5% 37.9% 38.5% 39.1% 주 : 각년도 4월 기준 자료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경제활동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참가율의 성별격차는 다소 감소 경제활동참가율(여성, 남성, 성별격차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여성 52.7% 53.2% 51.3% 53.4% 54.9% 56.1% 남성 76.2% 75.5% 74.3% 74.7% 76.7% 75.9% 성별격차비율 23.5%P 22.3%P 23.0%P 21.3%P 21.8%P 19.8%P 자료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성별임금격차 : 성별임금격차는 미미한 수준에서 감소중이나 여전히 34.5% 차이 성별임금격차(여성, 남성, 임금격차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201.0만원 207.8만원 209.0만원 219.0만원 237.1만원 남성 325.9만원 331.2만원 331.3만원 345.0만원 362.0만원 임금격차비율 38.3% 37.3% 36.9% 36.5% 34.5% 자료 :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각 년도별 하반기) 원자료 분석 건강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율 :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해 '좋다'고 느끼는 성별격차 증가 성별임금격차(여성, 남성, 임금격차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20 2022 여성 46.9% 47.0% 49.5% 남성 50.1% 54.9% 57.1% 성별격차 3.2%P 7.9%P 7.6%P 주1 : 13세 이상 인구 주2 : 건강상태에 대한 '매우좋음', '좋은편임'으로 응답한 비율임 자료 : 통계청, 사회조사 원자료 분석 우울증상으로 인한 정신상담률 : 우울증상으로 인한 정신상담률 여성 증가, 남성 다소 감소 성별임금격차(여성, 남성, 임금격차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21.9% 23.1% 22.9% 23.4% 28.1% 남성 19.4% 17.4% 21.8% 23.6% 21.7% 자료 : 질병관리청,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자료 분석 복지 국민연금가입자 : 국민연금가입자 수는 다소 감소, 여성이 남성보다 적게 나타나 국민연금가입자(여성, 남성,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2,306,135명 2,347,375명 2,384,701명 2,464,301명 2,504,314명 남성 3,017,540명 3,030,233명 3,040,599명 3,105,524명 3,151,775명 여성비율 43.3% 43.7% 44.0% 44.2% 44.3% 자료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통계 구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수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아 경제적으로 취약 국민연금가입자(여성, 남성,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154,810명 172,699명 199,548명 222,644명 234,625명 남성 126,695명 139,812명 163,440명 181,977명 190,072명 여성비율 55.0% 55.3% 55.0% 55.0% 55.2% 자료 :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현황 정치 및 사회참여 국회 및 지방의회 : 국회 및 지방의회 여성의원 비율은 상승세 국회의원(여성, 전체,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6 2020 2024 여성 7명 11명 14명 전체 60명 59명 60명 여성비율 11.7% 18.6% 23.3% 도의회 의원(여성, 전체,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4 2018 2022 여성 20명 32명 35명 전체 156명 142명 128명 여성비율 15.6% 22.5% 22.4% 시/군의회 의원(여성, 전체,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4 2018 2022 여성 135명 176명 195명 전체 431명 446명 463명 여성비율 31.3% 39.5% 42.1% 주 :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원을 합한 수치임 자료 : 중안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지방자치단체 : 관리직 5급 이상 자치단체 여성공무원 비율 지속 상승 지방자치단체 5급이상 관리직(여성, 전체,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519명 597명 694명 841명 989명 전체 3,078명 3,223명 3,204명 3,168명 3,048명 여성비율 14.4% 15.6% 17.8% 21.0% 24.5% 주 : 지자체 5급 이상 자료 :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통계 문화 및 정보미디어 인터넷 이용자 중 화상회의 및 원격근무 경험 : 2020년 화상회의 및 원격근무 이용률은 여성이 남성보다 약 4%p 정도 낮아 화상회의 경험자 중(여성, 남성 비율)에 관한 표 전체 20.5% 여성 8.2% 남성 12.3% 원격근무 경험자 중(여성, 남성 비율)에 관한 표 전체 17.5% 여성 6.8% 남성 10.7% 주 : 만 3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원자료 분석 여가생활만족도 : 여성, 남성 모두 2023년 여가 생활 만족도 다소 상승 여가생활이 만족스럽다고 하는 여성, 남성 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9 2021 2023 여성 30.4% 11.6% 17.4% 남성 31.3% 12.0% 18.4% 여가생활이 불만족스럽다는 여성, 남성 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9 2021 2023 여성 19.5% 32.2% 26.1% 남성 17.2% 28.2% 23.5% 안전 및 환경 범죄발생에 대한 안전인식 : 범죄발생에 대한 안전하다고 느끼는 성별 격차 2020년 보다 다소 감소 범죄발생에 대한 안전인식에 관한 표 구분 2018 2020 2022 여성 10.8% 20.5% 20.9% 남성 20.3% 32.3% 30.9% 성별격차 9.5%p 11.8%p 10%p 주 : 범죄발생에 대한 '안전함'이라고 응답한 비율임 자료 : 통계청, 사회조사 젠더폭력 : 디지털성범죄 5년전보다 1900건 이상 증가 젠더폭력 유형별 발생건수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총계 2,865건 2,106건 3,017건 3,404건 4,782건 음란물 유포(주1) 816건 336건 398건 221건 154건 카메라등 이용촬영(주2) 1,401건 1,317건 1,384건 1,354건 1,398건 통신매체 이용음란(주2) 370건 325건 534건 1,369건 2,807건 아동청소년 음란물배포(주3) 278건 128건 701건 460건 423건 주1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법률(음란물 유포) 주2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통신매체 이용음란) 주3 :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음란물제작/배포 등) 자료 : 경찰철, 경찰청범죄통계 _
> 경기여성가족통계 > 그림으로보는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