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인가구' 에 대한 통합 검색 결과 총 49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 20주년 기념 연구보고서 100선 2025-06-16
경기도여성가족재단 20주년을 기념하여 지난 20년 간 발간한 연구보고서 중 100건을 선정하였습니다. 재단은 지난 20년 간 해왔던 것처럼 향후에도 성평등하고 가족이 행복한 경기도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연구보고서 100 선 (2005~2025) * 연구과제명을 선택하시면 연구소개 및 보고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 일부 수탁과제 제외 ) 연번과제연도연구과제명과제번호12005경기도 5개 주요정책의 성별영향평가정책 05-0122005경기도 공공근로사업의 성별영향평가정책 05-0532005경기여성백서 2004수탁 05-0342006경기도 가족정책기본계획 연구정책 06-0252006경기도 여성발전 5개년 계획 중간점검 및 보완책 마련정책 06-0362006경기도 여성교육훈련기관의 프로그램 분석 및 재정비 방안정책 06-0572006여성희망일터지원본부 설치 및 운영방안 연구수탁 06-0182007경기도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정책 07-0292007경기도 취업여성의 영아보육 지원방안정책 07-04102007경기도 시・군 여성정책 평가지표 개발정책 07-11112007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보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정책 07-13122007경기여성 Jump Up Plan : 제2차 경기여성인적자원개발종합계획(2008~2010)수탁 07-02132008경기도 청소년정책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08-06142008제3차 경기도 여성정책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08-19152008경기도 성별영향평가의 성과 및 추진 개선방안 연구정책 08-21162008「경기도 꿈나무 안심학교」 운영모델 개발수탁 08-03172009경기도 성차별적 자치법규 개선방안 연구정책 09-03182009경기도 가정보육교사제도 운영 개선방안 연구정책 09-06192009여성장애인 가정폭력・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운영방안 연구정책 09-09202009경기도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연구정책 09-27212009경기도 성별영향평가 과제의 정책환류 및 제도화 방안 분석수탁 09-02222010경기도 북한이탈주민 생활실태와 취업지원 방안 연구정책 10-06232010경기도 다문화가족 생활실태 및 지원정책 연구정책 10-10242010경기도 보육시설 미이용 영아 실태조사정책 10-13252010경기도 아동급식사업 평가지표 개발 및 수혜자만족도 조사정책 10-18262010결혼이민자 적합직종 및 취업연계방안 연구수탁 10-01272011경기도 저출산 대책 기본계획(2011~2015) 수립 연구정책 11-06282011경기도형 지역아동센터 모델개발 연구정책 11-08292011경기도 가정보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정책 11-11302011경기도민 여성가족정책 수요조사정책 12-053120112011년 경기도 여성발전기금 공모사업 평가수탁 11-06322012다문화가정 중도입국 자녀 초기적응 지원방안 연구정책 12-06332012북한이탈주민 인권침해 실태조사정책 12-17342012경기도 아동청소년정책 기본계획(2013~2017) 수립 연구정책 12-19352012경기도 시군 출산환경지수 개발 연구정책 12-21362012경기도 일용직 근로자 관련 정책수립 연구수탁 12-04372013제4차 경기도 여성정책기본계획(2014~2017) 수립 연구정책 13-10382013경기도 다문화가족정책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연구정책 13-11392013저소득층 자녀 생활장학금 지원사업의 효율적 운영방안정책 13-13402013경기도 가정폭력 가해자 교정・치료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정책 13-174120132013년 경기도 청소년활동 우수프로그램 공모사업 평가수탁 13-02422014경기도 지역특성을 고려한 특성화가족사업 발굴정책 14-05432014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정책 14-25442014경기도 “일하기 좋은 기업” 근로자의 일-가족 양립 의식 조사정책 14-31452014경기도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해아동 보호체계 구축 방안정책 14-36462014경기도 농촌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한 연구수탁 14-04472015경기도 어린이집 다문화교육 실태조사정책 15-13482015경기도민의 폭력 허용태도 조사정책 15-17492015「양성평등기본법」 시행에 따른 경기도 여성정책 추진방향 연구정책 15-23502015제3차 경기도 저출산대책 기본계획(2016~2020) 수립 연구정책 15-325120152015년 의정부시 성인지 통계수탁 15-02522016경기도 청소년 자살 현황과 대응방안정책 16-04532016청년여성 '일 경험' 실태조사정책 16-09542016성매매여성의 탈성매매과정 연구정책 16-13552016경기도 보육재정 효율화 방안 연구정책 16-20562016여성친화도시조성을 위한 양성평등정책 중장기계획 수립수탁 16-09572017경기도 감정노동자 규모추정 및 현황 분석정책 17-02582017경기도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17-08592017경기도 영유아 인성교육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17-20602017경기도 비정규직 고용개선 종합계획(2018~2022) 수립 연구정책 17-31612017제1차 경기도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2018~2022) 수립 연구정책 17-47622017경기도 감정노동자 고용현황 및 노동환경 실태조사수탁 17-03632018경기도 1인 가구 삶의 질 연구정책 18-23642018경기도 시군 성평등 관리지표 개발 연구정책 18-28652018지역중심의 인구정책 추진을 위한 출산친화 환경 실태조사 정책 18-31662018경기도 성인지예산 운영 개선방안 연구 : 2017 경기도 성인지예 ・ 결산서 분석을 중심으로 정책 18-326720182018년 아동청소년 성매매의 특성분석 및 종합적 지원방안 연구수탁 18-07682019경기도형 돌봄체계 구축 방안정책 19-02692019경기도민의 차별과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 연구정책 19-15702019경기도 학교 밖 청소년 규모추정 및 현황 분석정책 19-17712019경기도 젠더폭력방지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19-19722019경기도 스포츠인권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수탁 19-02732020경기도 공공형 아동학대 대응모델 개발 연구정책 20-01742020경기도민 다문화수용성 연구정책 20-08752020경기도 아동정책 기본계획(2021~2025) 수립 연구정책 20-15762020경기도 기지촌여성 생활 실태 및 지원정책연구정책 20-187720202020년 화성시 맞춤형 인구정책 계획수립 연구수탁 20-067820212021년 경기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정책 21-02792021경기도 가족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21-03802021포스트 코로나시대, 여성가족정책 변화와 미래정책 21-06812021경기도 시군 성평등정책 추진기반 강화 방안 연구정책 21-11822021성남시 여성친화도시 2단계 조성 중장기 발전계획(2022~2026)수탁 21-09832022경기도 1인가구 정책 기본계획(2023~2027) 수립 연구정책 22-05842022경기도민의 가족다양성 인식조사정책 22-06852022경기도 내 소규모 사업장 성희롱 실태조사정책 22-10862022제4차 경기도 중장기 보육발전계획(2023-2027) 수립 연구정책 22-19872022제2차 경기도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2023~2027) 수립 연구정책 22-20882022일ㆍ생활 균형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수탁 22-05892023경기도민 성평등 의식 및 실태 조사정책 23-07902023가사서비스 제도화에 따른 경기도 노동시장 실태 분석정책 23-09912023경기여성사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정책 23-18922023경기도 학대피해아동의 보호조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정책 23-20932023인구감소시대, 다문화가족 정책수요와 중장기 정책방안 연구수탁 23-03942024경기도 은둔형 청소년 지원방안 연구정책 24-02952024경기도 시·군 가족센터 운영 실태 및 발전방안정책 24-06962024경기도 가정위탁보호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정책 24-09972024데이트폭력 예방교육 현황 및 강화방안정책 24-11982024경기도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실태조사정책 24-13992024경기도 여성 자영업자 노동환경 실태조사 정책 24-141002024과천시 보육정책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2025~2029)수탁 24-03
> 홍보관 > 경영성과보고서
[뉴스레터 제 208호]통합 돌봄 플랫폼, 경기도 아동돌봄광역지원단 소개 2023-04-27
평등으로 한걸음, 더 따뜻한 경기 NEWSLETTER 2023.04.28 Vol.208 “아동돌봄 안전망의 핵심은 지역사회” 통합 돌봄 플랫폼, 경기도 아동돌봄광역지원단 경기도 아동돌봄광역지원단 워크숍 관련 기사보기 경기도 아동돌봄광역지원단 워크숍 현장 둘러보기 허승연 경기도아동돌봄광역지원단장(왼쪽)과 단원들 “아동돌봄 안전망의 핵심은 지역사회” 통합 돌봄 플랫폼, 경기도 아동돌봄광역지원단 2023년 2월, 경기도여성가족재단에 '경기도 아동돌봄광역지원단'이 공식적으로 설치되었습니다. 경기도 아동돌봄광역지원단은 「경기도 아동돌봄 지원조례」 제6조에 따라 2023년 2월 경기도 수탁기관으로 선정된 조직으로, 앞으로 아동돌봄센터 관련 컨설팅, 종사자 교육, 사업운영 지원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지난 4월 11일, 도내 10개 시군 '경기도 아동돌봄센터' 관계자들과 함께한 통합 워크숍 현장을 둘러보실까요? #1인가구 가치 확산 캠페인 1인가구는 가족생활주기에서 누구나 한번은 거칠 수 있는 보편적인 가족형태입니다. 가족형태에 상관없이, 누구나 삶의 짊을 보장받고 누릴 수 있도록 기반이 되는 정책이 바로 '1인가구 정책'인데요. 「경기도 1인가구 정책 기본계획(2023~2027) 수립 연구」의 책임연구자인 노경혜 박사, 그리고 「경기도 여성 1인가구의 사회적 위험에 관한 연구」의 책임연구자인 정혜원 박사와 함께 경기도 1인가구 실태와 정책을 함께 살펴봅니다. "경기도 1인가구, 안녕하신가요?" 노경혜 박사와 함께 하는 1인가구 연구·정책 이야기경기도 1인가구 정책 기본계획(2023~2027) 수립연구 정혜원 박사와 함께 하는 1인가구 연구·정책 이야기경기도 1인가구 정책 경기도 여성 1인가구의 사회적 위험에 관한 연구 ESG 경영 경기도 6개 공공기관, 탄소 중립 활동 실천 선언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을 비롯해, 경기관광공사, 경기연구원,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경기복지재단, 경기도광역치매센터 등 총 6개 기관은 함께 미래세대와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4대 실천 과제를 선정하고 저탄소 생활 실천을 다짐했습니다. 자세히 보기> 디지털성범죄 도민 대응감시단 2023년 경기도 디지털성범죄 도민 대응감시단 발대식 개최 경기도디지털성범죄피해자원스톱지원센터에서 디지털성범죄 근절을 위해 도민이 참여하는 "2023년 경기도 도민 대응감시단" 발대식을 지난 4월 4일 개최하였습니다. 누리소통망(SNS) 활동을 하는 20세 이상의 경기도민(재학 및 재직자 포함)으로 구성, 20대부터 50대까지 도민 32명이 도민 대응감시단으로 선발되었는데요. 대응감시단원들의 열정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을 기대하며, 도민 여러분들의 많은 응원과 지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참여자 모집 2023년 젠더공감 나우 NOW 3기 사업 참여자 모집 v.신청기간: 5.7.(일) 18:00까지 v.신청대상: 경기도민 또는 경기도 소재 직장이나 학교에 재직(재학) 중인 남성 v.활동기간: 5~10월 v.활동혜택: 양성평등 교육 및 워크숍 무료 지원 향후 센터 추진 사업 신청 시 우선선발 v.문 의 처: gec@gwff.kr (경기양성평등센터) 2023년 아동학대예방교육 「우리아이지킴교육」 신청기관 모집 v.신청기간: 10월까지 ※선착순 모집 v.신청대상: 아동학대예방교육을 희망하는 경기도 내 기관 v.교육기간: 10월까지 v.교육비용: 전액무료 v.문 의 처: 031-220-3937 (가족지원역량개발팀) 「2023년 젠더와 진로특강」 참여자 모집 (오늘마감) v.신청기간: 4.28.(금)까지 ※선착순 모집 v.교육대상: 경기도 내 중〮고등학생 v.교육기간: 11월까지 v.교육비용: 전액무료 v.문 의 처: 031-220-3939 (성평등문화확산팀) 「2023년 젠더와 진로지도」 참여자 모집 (오늘마감) v.신청기간: 4.28.(금)까지 ※선착순 모집 v.교육대상: 경기도 내 초〮중등학교 양육자 및 청소년진로체험기관 등 담당자 v.교육기간: 11월까지 v.교육비용: 전액무료 v.문 의 처: 031-220-3939 (성평등문화확산팀) 경기WiFi [경기WiFi 331호] 저출생고령화 시대, 가족의 노인돌봄 급속한 고령화로 노인돌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노인돌봄은 가족정책과 복지정책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노인돌봄의 사회화와 탈가족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돌봄의 주체는 가족이고, 돌봄의 상당부분은 여성의 영역에 머물러 있는데요. 이번주 WiFi에서는 최근의 노인돌봄 정책현황과 과제들을 살펴봅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경기WiFi 332호] 외국인 아동 보육과 아동권리 경기도는 4월부터 도내 외국인 자녀 보육료 지원을 확대 실시합니다. 지원대상을 만3~5세에서 0~5세로 확대해서 외국인 영유아에게 차별 없는 보육기회를 제공하자는 취지인데요. 그동안 영유아들이 부모의 국적에 따라 생애초기부터 차별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습니다. 이번주 WiFi에서는 외국인 아동의 보육 문제와 경기도 정책에 대해 살펴봅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경기WiFi 333호] 초등돌봄, 경기도 정책은 영유아 보육에 비해 부족한 초등돌봄 공적 인프라 확대에 대한 요구는 매해 반복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존 정책 외에도 다함께돌봄사업, 온종일돌봄 생태계 구축 선도사업, 학교돌봄터 사업 등 다양한 정책이 새롭게 추진되어 왔습니다. 이번 WiFi에서는 경기도 초등돌봄 현황과 정책에 대해 살펴 봅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경기WiFi 334호] 스토킹·데이트 폭력, 피해자 지원방향은 2021년 '스토킹 처벌법'이 만들어진 이후 올해 1월 '스토킹 방지법'이 제정되면서 스토킹 폭력 가해자 규제와 피해자 보호를 위한 법제도 기반이 넓어지고, 스토킹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 데이트 폭력에 대한 논의도 함께 확대되고 있는데요. 이번 주 WiFi에서는 스토킹과 데이트 폭력에 대응하는 최근 정책동향과 현장의 목소리를 살펴보고 피해자 지원방향을 제안한 연구내용을 살펴봅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당당함은 청렴으로부터! 자신감은 정직으로부터!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도여성가족재단에서는 공익신고채널 청백리 마당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익신고 방법 재단 누리집 > EGS 경영 공정투명 경영 > 공익신고채널 청백리 마당 > 신고하기 본 메일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보내드리는 발신전용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16207)경기도 수원시 경수대로 1150(파장동 179) 신관 2층 | 대표전화 : 031-220-3900
> 재단 간행물 > 재단 소식지
[뉴스레터 제 207호]여성·가족 가치확산 캠페인 2023-03-29
평등으로 한걸음, 더 따뜻한 경기 NEWSLETTER 2023.03.31 Vol.207 여성·가족 가치확산 캠페인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여성·가족 가치확산 캠페인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여성·가족 가치확산 캠페인을 펼칩니다. 가치확산 캠페인을 통해 도민 여러분과 의미있는 가치를 함께 공감하고, 또 공유해 나가고자 합니다. 가족다양성, 1인가구, 성재생산·건강권, 여성평화 등 4가지 핵심키워드를 선정하여, 영상, 카드뉴스, SNS이벤트 등 다양한 홍보콘텐츠를 통해 캠페인 메시지를 확산해 나갈 예정입니다. 도민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그리고 공감을 부탁드립니다. "세상에 수많은 다양한 가족의 모습 그냥 다 가족이죠!" 경기도민의 가족다양성 인식 이나련 박사와 함께 살펴봅니다 #가족다양성 티저영상 보기 "경기도 1인가구 안녕하신가요?" 경기도 1인가구 정책 기본계획 노경혜 박사, 정혜원 박사와 함께 살펴봅니다 #1인가구 티저영상 보기 #가족다양성 가치 확산 캠페인 따뜻한 경기 여성·가족가치확산 캠페인 경기도의 가족다양성 이야기 유 영상을 보신 후 시청소감을 댓글로 달아주세요 튜브 추첨을 통해 20분에게 편의점 기프티콘을 보내드립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댓글 알고 편의점 기프티콘 받자! 영상시청 이벤트 ▶다양한 유가족 5천원 NO 경기 경기도의 NOX "가족다양성 이야기 경기도민의 가족다양성 인식조사 (이나 정유진, 2022.7.31.) 평온이 다온이와함께 알아보아요! [이벤트] #가족다양성 영상 시청 이벤트 '경기도의 가족다양성 이야기' 영상을 보신 후, #필수해시태그와 함께 시청소감을 댓글로 달아주세요. (필수해시태그: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가치확산캠페인 #가족다양성) √ 이벤트기간: 3.31.(금)까지 (오늘마감) √ 이벤트경품: 편의점 기프티콘(5천원권) (20명) [카드뉴스] 경기도의 #가족다양성 이야기 '가족'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우리 사회에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들이 살아가고 있는데요. 경기도민 2,053명의 생각은 어떠한지 경기도민의 가족다양성 인식 조사연구를 통해 들어보았습니다. 자세히 보기 > 참여자 모집 20234 젠더와 진로특강 \1/ 자세히 보기 >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 2023년 젠더와 진로지도/ 경기도여성가족재단에서 양육자 및 기관 담당자 대상 청소년 진로설계지원에서의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합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 2023년 젠더와 진로특강 참여자 모집 √ 신청기간: 4.28.(금)까지 ※선착순 모집 √ 교육대상: 경기도 내 중·고등학생 √ 교육기간:3~11월 중 √교육비용: 전액무료 √ 문의처: 031-220-3939 (성평등문화확산팀) 자세히 보기 > 2023년 젠더와 진로지도 참여자 모집 √ 신청기간: 4.28.(금)까지 ※선착순 모집 √ 교육대상: 경기도 내 초·중등학교 양육자 및 청소년진로체험기관 등 담당자 √교육기간:3~11월 중 √ 교육비용: 전액무료 √문의처: 031-220-3939 (성평등문화확산팀) 자세히 보기 > 언론 속 재단 경기도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원스톱 지원센터 ●피해접수 및 상담 •삭제 및 모니터링 ●수사지원 안심지지 동반 법률지원(상담 및 구조) 피해자 지원 심리지원 심리치유 지원 ●전문심리상담연계 의료 및 기타 연계 법률지원단 운영 2023.8 세계여성의 날 기념 일상을 바꾸는 노력, 경기도 여성폭력 실태 및 향후과제 202314 382:24 1000-130 PRIVA 예방체계 구축 ・인식개선 및 문화 확산 콘텐츠개발 •경기도 도인 대응감시단 운영 디지털성범죄예방교육 전문강사 보수교육 •디지털성범죄 대응 역량강화교육 제도개혁 네트워크 구축 운영 라운드테이블 • 전문가 자문 및 회의 운영 ●피해자 원스톱 지원 보고서 발간 [경기일보] "여성폭력 피해자 적극적 대응할 정책 필요" ... 세계 여성의 날 기념 토론회 개최 자세히 보기 > 경기WiFi [KBS] 경기도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원스톱 지원센터, 지난해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421명 영상 삭제 등 지원 자세히 보기 > [경기WiFi 327호] 여성폭력, 경기도 실태와 과제는? 3.8 세계여성의 날 1 여성폭력, 경기도 실태와 과제는? 3.8 세계여성의 날 2 노동시장 매년 3월에 맞는 3.8 세계여성의 날은 여성들의 노동권과 참정권, 즉 생존과 삶에 대한 기본적 요구에서 시작되었습니다. 115년이 지난 오늘, 한국사회 여성들의 삶과 생존에서 중요한 이슈는 구조적 성차별에 따른 '젠더폭력'과 '노동시장의 불평등'이 아닐까요. 이번 WiFi에서는 세계여성의 날 주간을 보내며 두 가지 주제를 함께 살펴봅니다. 원문보기 > 포스팅 보기 > [경기WiFi 328호] 노동시장 성별격차와 성평등한 경기도 올해 115주년을 맞은 3.8 세계여성의 날, 한국여성단체연합이 주관한 한국여성대회에서는 장시간 노동 근절, 성별임금격차 해소, 안전한 일터 보장'이 노동분야 이슈로 제기됐습니다. WiFi에서는 3.8 세계여성의날 주간을 보내며 구조적 성차별의 주요 이슈인 젠더폭력에 이어서 노동분야의 성별격차, 그리고 이와 관련한 최근의 정책 동향을 함께 살펴봅니다. 성별격차와 성평등한 경기도 원문보기 > 포스팅 보기 > 성평등 정책과 남성참여 [경기WiFi 329호] 성평등 정책과 남성참여 성인지적 관점에서 남성들의 경험에 주목하면서, 남성들의 성별화된 삶을 성찰하고 개선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책기반이 마련되기를 기대해봅니다. 이번주 WiFi에서는 독일의 사례를 통해 성평등 정책과 남성참여에 대해 살펴봅니다. 원문보기 > 포스팅 보기 > [경기WiFi 330회 젠더이슈로 다시 보는 ESG 젠더이슈로 다시보는 ESG ESG 요소 중 '노동, 인권, 다양성, 동반성장' 등을 포함하는 사회 부문, '의사결정구조의 권리와 의무'를 포괄하는 지배구조는 젠더 이슈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성별 다양성이나 성평등 수준이 지속가능한 성과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젠더관점 투자'가 ESG에서 중요해지면서 조직의 성평등 수준을 높일 거라는 기대도 있었는데요. 이번주 WiFi에서는 젠더이슈를 중심으로 ESG 최근 동향과 과제를 진단해봅니다. 원문보기 > 포스팅 보기 > 본 메일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보내드리는 발신전용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16207)경기도 수원시 경수대로 1150(파장동 179) 신관 2층 | 대표전화 : 031-220-3900
> 재단 간행물 > 재단 소식지
[경기WiFi 326호]경기도 중고령 이주여성의 삶 2023-02-27
경기와이파이(Women Issue & Family Issue) 328호 2023.3.13 *경기 WiFi(Women Issue & Family Issue)는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여성, 가족분야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고 재단의 연구, 사업성과를 전달하는 매체입니다. 매주 발간되는 WiFi는 구독신청을 통해 매일로 받아보실 수 있으며 홈페이지 및 SNS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주의 여성화, 빈곤의 여성화 경기도 '중고령 이주여성'의 삶 경기도에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의 외국인 주민이 살고 있고 최근에는 중고령층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 중 '중고령 이주여성'은 나이, 이주민, 그리고 여성이라는 조근들이 중첩되는 상황에서 다양한 사회적 차별과 배제상황에 놓여 왔는데요. 이번주 WiFi에서는 중고령 이주여성의 삶이 '다차원적 빈곤'과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 빈곤예방과 정책지원 방향을 제안한 연구내용을 살펴봅니다. 중고령 이주여성은... 이주민 중 '중고령'이주여성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현재 50대 이상인 이주여성들이 처음 하눆에 들어왔던 1990년 ~ 2000년대 초반은 이주민이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같은 지원체계도 부족했던 시기입니다. 인식과 정책이 없는 상태에서 이주여성들은 결온이민자와 돌봄노동자와 같은 삶을 살아가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이 나이 들어가면서 '중고령자', '이주민', 그리고 '여성'이라는 특성이 겹친 '다차원적 빈곤'을 겪고 있습니다. '중고령'의 범위 중년(45~64세)과 고령(65세 이상)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여기에서는 '50세 이상'으로 재규정 이주의 여성화 전형적으로 '여성의 일'로 취급되는 가사, 감정, 성, 돌봄노동을 하기 위해 이주하는, 이주의 성별적 특성을 뜻 함. 이주의 여성화는 '빈곤의 여성화'와 맞물려 이주여성을 취약한 위치에 노출시키는 경우가 많음 다차원적 빈곤이란 소득이나 자산과 같은 경제적 빈곤 뿐 아니라 인적/사회적 자원도 함게 고려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생애 과정에서의 결핍과 박탈, 배제 등을 포함 경기도 중고령 이주여성 50세 이상 여성 중고령자 규모 2016년 6만 8천여명에서 2020년 9만 7천여명으로 가파르게 증가(여성은 41.9%, 남성은 36.4% 증가) 2016년 : 여성 68,828명, 남성 61,427명 2020년 : 여성 97,730명, 남성 83,797명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행정안전부, 2016-2020)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 안산 : 13,156명 14.6% 수원 : 10,958명 12.5% 부천 : 8,544명 10.8% 시흥 : 7,552명 8.8% 성남 : 5,061명 6.6% 체류자격 외국국적동포 : 41,117명 한국국적취득자 : 15,374명 결혼이민자 : 7,571명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행정안전부, 2020) 생활환경 한국에 자녀가 거주 : 68.5% 인반주택에 거주 : 69.9% 1인가구로 혼자 거주 : 14.5%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조사(법무부, 2021) 원자료 분석 이주여성의 삶과 '다차원적' 빈곤화 고연령, 이주, 여성 차별이 중첩된 중고령층 이주여성들은 저임금과 같은 소득빈곤 외에도, 고용상의 장벽 2차 노동시장의 질 낮은 일자리, 사회적 차별과 배제 등 다양한 형태의 '빈곤'을 경헙합니다. 특히 이들이 경험하는 빈곤과 사회적 배제는 특정 시점이 아닌 생애단계에 걸쳐서 진행됩니다. 소득빈곤, 구직과 고용의 배제 지난 1년간 소득(월 평균) 소득없음 : 43.3% 100 ~ 200 만원 미만 : 26.0% 200 ~ 300 만원 미만 : 17.3% 100만원 미만 : 10.5% 300만원 이상 : 2.9% 경제활동 비경제활동인구 : 49.3% 취업자 : 49.1% 실업자 : 1.6% 종사자 지위 상용근로자 : 38.4% 일용근로자 : 28.3% 임시근로자 : 27.8% *60세 이상은 40.1%가 일용근로자 구직 애로사항 외국인 차별 : 28.9% 내게 맞는 일자리를 찾지못해서 : 23.7% 한국어를 잘하지 못해서 : 10.6% *기타응답 45.3% 일본출신 50대, 요양보호사 : 아이들을 잘키우고 가정을 잘이루고 싶었어요. 실제 생활을 해보니까... 경제적으로 남편이 수입도 없고 그렇게 사니까... 베트남출신 50대, 아르바이트 : 회사에서 그냥 집에서 놀아 일하지 마세요. 저한테 말했어요. 일 못해 지금은 나이 많아 했어요... 중국출신 50대, 통번역 : 일용직도 몇 번씩 나갔어요. 근데 갈 때마다 나이 먹은 사람을 잘 안 쓰더라고. 우리 50세까지야... 그래서 더 안 가게 되죠 차별과 배제, 소외와 고립 지난 1년간 차별대우를 받은 경험이 '있다' 지난 1년간 차별대루를 받은 경험에 대한 표이주여성50대30.7%60대11.4%한국체류5년17.3%10년 이상24.8% 한국생활이 어려운 점 경제적 어려움 : 33.7% 외국인 무시 : 17.9% 외로움 : 17.5% 생활바식의 차이 : 13.9% 언어문제 : 13.8% 경제적 어려움 외에도 좁아지는 사회적 관계, 나이 들어가며 본국과도 단절되면서 '갈 곳'이 사라지는 문제도 직면 중국출신 50대, 보험회사 : 조선족이라면 꺼려하더라고요. 그래서 이제 내 일을 해야 되겠다 해서 그 후부터 예속 이렇개... 중국출신 60대, 손자돌봄 : 이혼했는데 왜 한국에서 사느냐고 물어보고, 언제까지 여기 있을 수 있는지 불안한 상대토. 일단 연기해주는 데까지 있다가 안 해주면 어쩔 수 없이 가야 되고... 질병과 건강 50대 16.0%, 60세 이상 13.2%가 동거가족 없이 혼자 생활하며, 60세 이상 여성 약 40%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인식(약간 나쁨 21.7%, 매우 나쁨 12.0%) 노화에 따른 건강악화 외에도. 가족돌봄과 자녀양육 등으로 건강과 질병 문제가 심각해지는 경향 중국출신 60대, 무직 : 우리 아저씨가 아파가지고 간병하고 집에 있어요... 집에 이렇게 한 사람이 아프면 가족이 쑥대밭이 된다고... 중국출신 50대, 보험회사 : 다문화 여성들, 50세 이후로 나이 든 분들한테는 노후대책, 건강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프로그램이 좀 있었으면... 정책서비스 배제 국민연금 50대 52.8%, 60세 이상 90.6% 전체 74.0% 가 미가입 임금근로자의 고용/산재보험 고용보험 미가입 : 52.2% 산재보험 미가입 : 45.4% 취약한 삶에 따라 더 취약해지는 정보접근. 사회안전망을 인지하거나 이용하지 못할수록 강화되는 배제 일본출신 50대, 가사돌보미 : 나이가 많아서 10년까지는 4대보험이 못 돌아가는 것 같고. 연금은 못 받는 거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일본출신 50대, 번역가 : 귀화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 사람들한테는 기초연금 같은 것을 좀 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경기도 거주 중고령 이주여성이 희망하는 지원서비스는? 취업관련 정보제공과 일자리 소개 : 40.3% 임대주택등 주거지원 서비스 : 26.4% 의료상담 및 진료서비스 : 25.7% 자격증 취득 및 취업교육 : 25.6% 한국어 교육 : 17.9% *다차원적 빈곤에 대한 이상의 통계자료는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조사(법무부, 2021)"원자료 분석임. ('차별대우 경험'과 '한국생활에서 어려운 점'은 2020년 조사) 어떤 정책이 필요할까 경기도 정책현황은 다문화가족 지원조례, 경기도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9~2023) 등에 따라 지역별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해 종합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주여성 등의 사회/경제 참여를 확대하고 다문화 친화적인 지역사회를 조성하고 있지만... 결혼 이민자 등에 대한 초기 적응지원 외에도 '고령화'와 장기정착 추세 반영 필요 특히 지원체계가 없던 시기에 입국한 중고령 이주여성 대상 정책개발 필요 앞으로 필요한 과제들은 경기도 차원의 정책 마련 조직과 예산을 편성한 경기도 특화서업 발굴 동포지원조례와 지원센터 운영, 건강보험 등 사회서비스 확대 소득빈곤 탈출을 위한 자립역량 노인 일자리 사업대상자 확대 이주여성 직업훈련교육/창업지원 중고령 이주여성 적합 일자리 창출 소외와 고립 완화 국적취득 지원(중고령 특화 한국어교육 등) 자조모임 등 관계형성 프로그램 지원 정책/사회서비스 홍보 등 정보접근성 강화 취약계층 위기대응 고령층 이주여성 1인가구 지원(심리상담, 공동생활가정 운영 등)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내 상담지원체계 구축 본 메일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보내드리는 발신전용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16207)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파장동 179) 신관 2층 | 담당자 전화 031-220-3922
> 재단 간행물 > (구) 경기 wifi 다시보기
[경기WiFi 322호] 2023년 달라지는 여성가족정책(경기도) 2023-01-26
경기와이파이(Women Issue & Family Issue) 322호 2023.1.30 *경기 WiFi(Women Issue & Family Issue)는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여성, 가족분야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고 재단의 연구, 사업성과를 전달하는 매체입니다. 매주 발간되는 WiFi는 구독신청을 통해 매일로 받아보실 수 있으며 홈페이지 및 SNS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2023년 달라지는 여성/가족정책(경기도편) 생활 속 정책변화, 한눈에 보기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기반 강화(치유프로그램 공간조성 등)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지원 22개시군으로 확대 '경기여성취업지원금' 연 120만원으로 인상 시군 '여성창업 플랫폼'설치 확대로 여성창업 생태계 조성 깅기도 위기가구 생계지원 확대(중위소득 100%이하, 1인가구 지원확대) 와국인 자녀 부육지원 만0~5세 영유아 1명당 월 10만원 지역거점 아동돌봄센터 운영 10개소로 확대(기존 4개에서 6개 지역 추가) 아이돌보미 대상 독감예방접종비 인상, '영아돌봄수당' 신설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돈) 마음건강상담지원/멘토링 사업 실시 경기도 예술인 '기회소득' 도입(28개지역 연 120만원) 여성 안전/건강권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 강화 2023년부터 피해자 치유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공간조성, 피해자 전문심리치료/법률소송비용/경찰연계 안심지지 동반서비스 등 지원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지원 확대 만 11~18세 여성청소년 대상 생리용품 구입비용을 지역화폐로 지원, 지원시군과 지원액 확대 여성청소년 대상 생리용품 구입비용 연간지원 규모에 대한 표2022년2023년 상반기 : 월12,000원 하반기 : 월13,000원 월13,000원(연156,000원)20개 시22개 시군 *청소년 생리용품 지원시군 : 안산, 평택, 시흥, 김포, 의정부, 광주, 하남, 군포, 양주, 이천, 구리, 안성, 포천, 양평, 여주, 동두천, 과천, 가평, 연천, 화성, 광명, 의왕 고용/노동 '경기여성취업지원금' 인상 적극적 구직의사가 있는 도내 경력단절 여성 등 미취업여성 경제활동 참여지원(도내 거주 만35~59세 중위소득 100% 이상) 경기여성취업지원금 규모에 관한 표2022년2023년인당 지원금 90만원(월 30만원 3개월)120만원 (월 40만원 3개월) '여성창업 플랫폼' 시군 설치 확대 경기도형 여성창업샏태계 조성 위해 연도별 1개소씩 확대 계획(현재 총5개) 2023년부터 시군 여성창업지원 플랫폼(꿈마루) 설치확대 *여성창업 플랫폼 : 공용사무공간 등 창업 인프러와 교육/상담 등 창업특화 프로그램 지원 [신규]시군 비정규직 노동자 지원센터 설치비 지원 지원센터 설치 시군에 설치비 지원 지원액 : 센터당 5천만원 이내 지원내용 : 시설개선 및 사무기기/비품구입 경기도 생활임금 인상 경기도 및 공공기관 직접고용 노동자와 민간위탁 등 간접고용 노동자 대상 경기도 생활임금 인상 규모에 관한 표2022년2023년시간당 11,141원(월 232만원)시간당 11,485원(월 240만원 3.1%인상) 경기도 비정규직 공정수당 인상 경기도 및 공공기관 기간제 노동자 대상'비정규직 공정수당' 인상 경기도 비정규직 공정수당 인상 규모에 관한 표2022년2023년356,000~1,365,000원367,000~1,407,000원 (3.1%인상) *비정규직 공정수당 : 기간제 노동자 고용 불안전 완화를 위한 보상수당 기본급 5~10%범위내 지급 가족 경기도형 긴급복지 지원사업 위기상황으로 생계가 곤란한 경기도 가구의 최저 생활보장을 위한 지원기준 완화 경기도형 긴급복지 지원사업 규모에 관한 표구분2022년2023년기준 중위소득완화90% 이하100% 이하1인가구 생계지원비583,400원623,300원 위기사유 신설 : 가족돌봄 위기가구(가족돌봄청소년, 치매환자 등), 과다채무, 빚 독촉, 채무변제 위기가구 등 [신규]경기도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사업 도내 1인가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병원 동행 진료와 입퇴원 등 동행지원 서비스(시간당 이용요금 5,000원, 초과 30분 2,500원) 5개 지역 시범도입(성남, 안산, 광명, 군포, 포천) 보육지원 외국인 자녀 보육지원 도내 외국인 자녀(만0~5세 영유아)보육지원으로 차별없는 외국인 보육 기회 제공 외국인 자녀 보육지원 규모에 관한 표2022년2023년어린이집 운영비 지원(영유아 1인당 월 22,000원)어린이집에 다닌느 외국인 자녀대상 보육료 지원(영유아 1인당 월 10만원) [전국공통]경기도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점사비 지원 건강보험료 기준 하위 70% 이하에서 80%이하로 대상 확대 신청절차를 보건소 정밀검사비 대상자 확인 절차 없이 공단 안내문(영유아 발달평가 결과안내) 대체 등 간소화 아동돌봄 지역거점 아동돌봄센터 설치 확대 지역거점 '이동돌봄센터' 10개소로 확대 운영 기존 4개소(화성, 광명, 파주, 여주)에서 6개소 추가설치(수원, 성남, 안양, 김포, 이천, 구리) *지역거점 아동돌봄센터 : 초등학생 돌봄 공백 해소를 위한 돌봄 서비스 제공, 지역별 돌봄수요 및 초등돌봄기관 네트워크 지원 [신규]아동복지시설 호봉제 도입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해 종사자 인건비를 기존 고정급에서 호봉제로 전환 도내 4개 시설 대상(다함께돌봄센터, 지역아동센터, 공동생활 가정, 학대피해아동쉼터, 아동보호전문기관) 아이돌보미 독감예방접종비 인상, 영아돌봄수당 신설 독감예방접종비 : 1인(연1회)25,000원 에서 30,000으로 인상 만 36개월 이하 영아에게 월 60시간 이상 아이돌봄서비스를 제공한 아이돌보미 대상 월 5만원 영아돌봄수당 지원 [신규]경기도 아동급식지원 플롯폼 운영 취약계층 아동의 급식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한 시범사업 추진 기존 아동급식카드(G드림카드)를 오프라인에서 직접사용에서 배달앱 연계 온라인 방식 추가(주문결제, 가맹점 위치 확인, 챗봇1:1질의응답서비스등 지원) *상반기 운영예정 [전국공통]입양가정위탁 아동 심리치료 지원 입양/가정위탁 아동 심리검사비/치료비 지원 아동 외에 입양부모/가정위탁 부모로 지원 확대 심리 검사비(1회 30만원), 상담비(월 20만원) 지원 초등학생 치과주치의 사업 검진비 인상 아동성장지원을 위한 예방중심의 구강건강서비스 제공 사업(초등학교4학년 대상, 구강검사/구강보건교육, 예방지료 등) 치과주치의 검진비 인상 : 종전 1인 40,000원에서 48,000원으로 인상 *5월부터 예정 청소년 [신규]자립준비청년 마음건강 상담지원 경기도 거주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대상 아동복지법에 근거해 우울/불안/스트레스등을 겪는 청년대상 심리상담 서비스 지원사업 시작 자립준비청년 '멘토-멘티 함게서기' 도내 만 15세 이상 보호아동 및 보호종료 후 5년 이내 자립준비천년 대상 개인(1대1), 그룹(1대 다수)/전문가 멘토링, 커뮤니티 지원, 멘도 교육과 멘토링 활동 문화체육 [신규]경기도 예술인 '기회소득'도입 예술창작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만드는 예술인에 대한 '기회소득' 시범사업 실시 도내 28개 시군 거주 예술활동증명 유효자 대상(중위소득 120%이하) *하반기 예정 [전국공통]경기도 스포츠강좌 이용권 지원 확대 만 5~18세 저소득층 아동청소년과 만 19~64세 등록 장애인 대상 월 8만5천원 / 연 10개월에서 월 9만5천원 / 연 12개월 로 조정됨 ※자료 : 경기도, 2023년 경기도 더 좋아지는 행정제도(`22.12.29) / 경기도 민선8기 공약실천계획서(`23.1.9) 본 메일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보내드리는 발신전용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16207)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파장동 179) 신관 2층 | 담당자 전화 031-220-3922
> 재단 간행물 > (구) 경기 wifi 다시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