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보기닫기

' 코로나' 에 대한 통합 검색 결과 총 159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컨텐츠 검색 결과 (1건)

    더보기

    • 여성가족자료실 >경기여성가족통계실 >주제별 통계

      2021 경기도 시군별 성인지 통계 2020 경기도 성인지 통계 2022 경기도 성인지 통계 인구 가구 및 가족 아동 돌봄 교육 경제 활동 건강 복지 정치 및 사회참여 문화 및 정보미디어 안전 및 환경 인구 총인구 인구구성 출생 및 사망 인구이동 총인구 [미리보기] 인구추이 인구추이 [미리보기] 장래인구추계 장래인구추계 인구구성 [미리보기] 연령별인구 연령별인구 [미리보기] 혼인상태별 인구 혼인상태별 인구 [미리보기] 외국인 및 다문화 인구 외국인 및 다문화 인구 [미리보기] 북한이탈주민 북한이탈주민 출생 및 사망 [미리보기] 출생 출생 [미리보기] 사망 사망 [미리보기] 인구증가 인구증가 인구이동 [미리보기] 국내인구이동 국내인구이동 가구 및 가족 가구구성 가족형성 가족생활 가족관 가구구성 [미리보기] 가구형태 가구형태 가족형성 [미리보기] 혼인 혼인 [미리보기] 국제결혼 국제결혼 [미리보기] 이혼 이혼 가족생활 [미리보기] 소득 소득 [미리보기] 주택점유형태 주택점유형태 [미리보기] 가족관계 가족관계 [미리보기] 가사노동 가사노동 가족관 [미리보기] 가족가치관 가족가치관 [미리보기] 혼인관 혼인관 [미리보기] 자녀관 자녀관 [미리보기] 부모관 부모관 [미리보기] 저출산 저출산 아동돌봄 돌봄아동 돌봄시설 돌봄지원 돌봄아동 [미리보기] 돌봄아동 현황 돌봄아동 현황 돌봄시설 [미리보기] 보육시설 현황 보육시설 현황 [미리보기] 방과후돌봄 현황 방과후돌봄 현황 돌봄지원 [미리보기] 보육정보 보육정보 [미리보기] 보육료지원 보육료지원 [미리보기] 보육만족 보육만족 교육 교육기회 학교교육 교육여건 교육효과 교육기회 [미리보기] 교육수준 및 교육기대 교육수준 및 교육기대 [미리보기] 학교교육 기회 학교교육 기회 [미리보기] 평생교육 평생교육 [미리보기] 다문화 가족자녀 교육 및 외국어 교육 기회 다문화 가족자녀 교육 및 외국어 교육 기회 학교교육 [미리보기] 초·중·고등학교 초·중·고등학교 [미리보기] 대학교 대학교 교육여건 [미리보기] 교육인력 교육인력 [미리보기] 자녀교육여건 자녀교육여건 교육효과 [미리보기] 교육성과 교육성과 경제활동 경제활동참여 사업체 근로여건 취업태도 경제활동참여 [미리보기] 경제활동규모 경제활동규모 [미리보기] 취업자 취업자 [미리보기] 임금근로자 임금근로자 [미리보기] 경력단절여성 경력단절여성 [미리보기] 실업자 실업자 [미리보기] 비경제활동인구 비경제활동인구 [미리보기] 농가인구 농가인구 [미리보기] 외국인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 사업체 [미리보기] 사업체 현황 사업체 현황 [미리보기] 종사자 현황 종사자 현황 근로여건 [미리보기] 임금 임금 [미리보기] 근로시간 근로시간 [미리보기] 만족도 만족도 [미리보기] 노동조합 노동조합 [미리보기] 일생활 균형 일생활 균형 [미리보기] 휴식 휴식 취업태도 [미리보기] 여성취업 여성취업 [미리보기] 직업선택 직업선택 건강 건강상태 및 행태 출산, 질병, 사망 의료 이용 의료 자원 코로나19 건강상태 및 행태 [미리보기] 생존년수 생존년수 [미리보기] 신체건강 신체건강 [미리보기] 정신건강 정신건강 [미리보기] 건강행태 건강행태 출산, 질병, 사망 [미리보기] 출산 출산 [미리보기] 질병 질병 [미리보기] 사망 사망 의료 이용 [미리보기] 의료서비스 이용 의료서비스 이용 의료 자원 [미리보기] 의료 인력 의료 인력 [미리보기] 의료 기관 의료 기관 코로나19 [미리보기] 증상발현 시 자택 휴식 증상발현 시 자택 휴식 [미리보기] 생활점수 생활점수 [미리보기] 코로나19 이전 대비 일상생활 변화 코로나19 이전 대비 일상생활 변화 복지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보험 [미리보기] 국민연금 국민연금 [미리보기] 건강보험 건강보험 [미리보기] 고용보험 고용보험 [미리보기] 사회보험료 부담에 대한 인식 사회보험료 부담에 대한 인식 [미리보기] 공무원연금 공무원연금 [미리보기] 사학연금 사학연금 공공부조 [미리보기] 기초생활보장 기초생활보장 [미리보기] 의료급여 의료급여 [미리보기] 기초연금 기초연금 [미리보기] 장애인연금 장애인연금 사회복지서비스 [미리보기] 사회복지 인력 및 시설 사회복지 인력 및 시설 [미리보기] 장애인복지 장애인복지 [미리보기] 아동복지 아동복지 [미리보기] 청소년복지 청소년복지 [미리보기] 여성·가족복지 여성·가족복지 [미리보기] 노인복지 노인복지 [미리보기] 사회복지에 대한 태도 사회복지에 대한 태도 정치 및 사회참여 정치참여 행정참여 사회참여 정치참여 [미리보기] 투표 투표 [미리보기] 정치진출 정치진출 행정참여 [미리보기] 공무원 공무원 [미리보기] 정책결정 참여 정책결정 참여 사회참여 [미리보기] 단체활동 단체활동 [미리보기] 자원봉사활동 자원봉사활동 사회인식 [미리보기] 사회적 이동 사회적 이동 [미리보기] 관계인식 관계인식 [미리보기] 삶의 질 삶의 질 문화 및 정보미디어 문화 및 여가활동 정보미디어 이용 문화 및 여가활동 [미리보기] 문화시설 문화시설 [미리보기] 문화생활 문화생활 [미리보기] 여가활동 참여 여가활동 참여 정보미디어 이용 [미리보기] 신문 신문 [미리보기] 컴퓨터·인터넷 컴퓨터·인터넷 안전 및 환경 안전인식 안전실태 환경 및 교통 지역환경 안전인식 [미리보기] 일상생활 안전인식 일상생활 안전인식 [미리보기] 사회 안전 인식 사회 안전 인식 [미리보기] 준법의식 준법의식 [미리보기] 환경문제 인식 환경문제 인식 안전실태 [미리보기] 범죄발생 및 검거 범죄발생 및 검거 [미리보기] 교통안전실태 교통안전실태 [미리보기] 산업재해 실태 산업재해 실태 [미리보기] 화재실태 화재실태 환경 및 교통 [미리보기] 환경인식 및 변화 환경인식 및 변화 [미리보기] 교통정책 교통정책 지역환경 [미리보기] 지역환경 지역환경 [미리보기] 거주지 만족 거주지 만족 지역환경 _

      > 경기여성가족통계 > 주제별 통계

    더보기

  • 게시판 검색 결과 (158건)

    더보기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20주년 기념 연구보고서 100선 2025-06-16

      경기도여성가족재단 20주년을 기념하여 지난 20년 간 발간한 연구보고서 중 100건을 선정하였습니다. 재단은 지난 20년 간 해왔던 것처럼 향후에도 성평등하고 가족이 행복한 경기도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연구보고서 100 선 (2005~2025) * 연구과제명을 선택하시면 연구소개 및 보고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 일부 수탁과제 제외 ) 연번과제연도연구과제명과제번호12005경기도 5개 주요정책의 성별영향평가정책 05-0122005경기도 공공근로사업의 성별영향평가정책 05-0532005경기여성백서 2004수탁 05-0342006경기도 가족정책기본계획 연구정책 06-0252006경기도 여성발전 5개년 계획 중간점검 및 보완책 마련정책 06-0362006경기도 여성교육훈련기관의 프로그램 분석 및 재정비 방안정책 06-0572006여성희망일터지원본부 설치 및 운영방안 연구수탁 06-0182007경기도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정책 07-0292007경기도 취업여성의 영아보육 지원방안정책 07-04102007경기도 시・군 여성정책 평가지표 개발정책 07-11112007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보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정책 07-13122007경기여성 Jump Up Plan : 제2차 경기여성인적자원개발종합계획(2008~2010)수탁 07-02132008경기도 청소년정책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08-06142008제3차 경기도 여성정책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08-19152008경기도 성별영향평가의 성과 및 추진 개선방안 연구정책 08-21162008「경기도 꿈나무 안심학교」 운영모델 개발수탁 08-03172009경기도 성차별적 자치법규 개선방안 연구정책 09-03182009경기도 가정보육교사제도 운영 개선방안 연구정책 09-06192009여성장애인 가정폭력・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운영방안 연구정책 09-09202009경기도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연구정책 09-27212009경기도 성별영향평가 과제의 정책환류 및 제도화 방안 분석수탁 09-02222010경기도 북한이탈주민 생활실태와 취업지원 방안 연구정책 10-06232010경기도 다문화가족 생활실태 및 지원정책 연구정책 10-10242010경기도 보육시설 미이용 영아 실태조사정책 10-13252010경기도 아동급식사업 평가지표 개발 및 수혜자만족도 조사정책 10-18262010결혼이민자 적합직종 및 취업연계방안 연구수탁 10-01272011경기도 저출산 대책 기본계획(2011~2015) 수립 연구정책 11-06282011경기도형 지역아동센터 모델개발 연구정책 11-08292011경기도 가정보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정책 11-11302011경기도민 여성가족정책 수요조사정책 12-053120112011년 경기도 여성발전기금 공모사업 평가수탁 11-06322012다문화가정 중도입국 자녀 초기적응 지원방안 연구정책 12-06332012북한이탈주민 인권침해 실태조사정책 12-17342012경기도 아동청소년정책 기본계획(2013~2017) 수립 연구정책 12-19352012경기도 시군 출산환경지수 개발 연구정책 12-21362012경기도 일용직 근로자 관련 정책수립 연구수탁 12-04372013제4차 경기도 여성정책기본계획(2014~2017) 수립 연구정책 13-10382013경기도 다문화가족정책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연구정책 13-11392013저소득층 자녀 생활장학금 지원사업의 효율적 운영방안정책 13-13402013경기도 가정폭력 가해자 교정・치료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정책 13-174120132013년 경기도 청소년활동 우수프로그램 공모사업 평가수탁 13-02422014경기도 지역특성을 고려한 특성화가족사업 발굴정책 14-05432014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정책 14-25442014경기도 “일하기 좋은 기업” 근로자의 일-가족 양립 의식 조사정책 14-31452014경기도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해아동 보호체계 구축 방안정책 14-36462014경기도 농촌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한 연구수탁 14-04472015경기도 어린이집 다문화교육 실태조사정책 15-13482015경기도민의 폭력 허용태도 조사정책 15-17492015「양성평등기본법」 시행에 따른 경기도 여성정책 추진방향 연구정책 15-23502015제3차 경기도 저출산대책 기본계획(2016~2020) 수립 연구정책 15-325120152015년 의정부시 성인지 통계수탁 15-02522016경기도 청소년 자살 현황과 대응방안정책 16-04532016청년여성 '일 경험' 실태조사정책 16-09542016성매매여성의 탈성매매과정 연구정책 16-13552016경기도 보육재정 효율화 방안 연구정책 16-20562016여성친화도시조성을 위한 양성평등정책 중장기계획 수립수탁 16-09572017경기도 감정노동자 규모추정 및 현황 분석정책 17-02582017경기도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17-08592017경기도 영유아 인성교육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17-20602017경기도 비정규직 고용개선 종합계획(2018~2022) 수립 연구정책 17-31612017제1차 경기도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2018~2022) 수립 연구정책 17-47622017경기도 감정노동자 고용현황 및 노동환경 실태조사수탁 17-03632018경기도 1인 가구 삶의 질 연구정책 18-23642018경기도 시군 성평등 관리지표 개발 연구정책 18-28652018지역중심의 인구정책 추진을 위한 출산친화 환경 실태조사 정책 18-31662018경기도 성인지예산 운영 개선방안 연구 : 2017 경기도 성인지예 ・ 결산서 분석을 중심으로 정책 18-326720182018년 아동청소년 성매매의 특성분석 및 종합적 지원방안 연구수탁 18-07682019경기도형 돌봄체계 구축 방안정책 19-02692019경기도민의 차별과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 연구정책 19-15702019경기도 학교 밖 청소년 규모추정 및 현황 분석정책 19-17712019경기도 젠더폭력방지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19-19722019경기도 스포츠인권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수탁 19-02732020경기도 공공형 아동학대 대응모델 개발 연구정책 20-01742020경기도민 다문화수용성 연구정책 20-08752020경기도 아동정책 기본계획(2021~2025) 수립 연구정책 20-15762020경기도 기지촌여성 생활 실태 및 지원정책연구정책 20-187720202020년 화성시 맞춤형 인구정책 계획수립 연구수탁 20-067820212021년 경기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정책 21-02792021경기도 가족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21-03802021포스트 코로나시대, 여성가족정책 변화와 미래정책 21-06812021경기도 시군 성평등정책 추진기반 강화 방안 연구정책 21-11822021성남시 여성친화도시 2단계 조성 중장기 발전계획(2022~2026)수탁 21-09832022경기도 1인가구 정책 기본계획(2023~2027) 수립 연구정책 22-05842022경기도민의 가족다양성 인식조사정책 22-06852022경기도 내 소규모 사업장 성희롱 실태조사정책 22-10862022제4차 경기도 중장기 보육발전계획(2023-2027) 수립 연구정책 22-19872022제2차 경기도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2023~2027) 수립 연구정책 22-20882022일ㆍ생활 균형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수탁 22-05892023경기도민 성평등 의식 및 실태 조사정책 23-07902023가사서비스 제도화에 따른 경기도 노동시장 실태 분석정책 23-09912023경기여성사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정책 23-18922023경기도 학대피해아동의 보호조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정책 23-20932023인구감소시대, 다문화가족 정책수요와 중장기 정책방안 연구수탁 23-03942024경기도 은둔형 청소년 지원방안 연구정책 24-02952024경기도 시·군 가족센터 운영 실태 및 발전방안정책 24-06962024경기도 가정위탁보호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정책 24-09972024데이트폭력 예방교육 현황 및 강화방안정책 24-11982024경기도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실태조사정책 24-13992024경기도 여성 자영업자 노동환경 실태조사 정책 24-141002024과천시 보육정책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2025~2029)수탁 24-03

      > 홍보관 > 경영성과보고서

    • [경기WiFi 328호]노동시장 성별격차와 성평등한 경기도 2023-03-13

      #경제활동 # 경력단절 # 성별임금격차

    • 코로나19 이후 경기도 여성의 돌봄실태 변화 2022-12-22

      1111

      > 연구보고서 > 이슈분석

    • 코로나19와 경기도민 다문화수용성 2022-08-30

      1111

      > 연구보고서 > 이슈분석

    • [뉴스레터 제 192호]코로나19·가뭄 극복을 위한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임직원 농촌일손돕기 2022-06-30

      2022 디지털성범죄 예방 콘텐츠 공모전 우리가 함께 만들어가는 디지털성범죄 예방문화, 나의 생각이 우리의 목소리가 되는 다양한 콘텐츠를 기다립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참가자격: 디지털성범죄 예방 및 근절에 관심 있는 누구나 (개인 및 단체(6명 이내), 지역‧연령 제한 없음) 공모기간: 6.22.(수) ~ 8.8.(월) 18:00 공모주제: 경기도디지털성범죄피해자원스톱지원센터를 매개로 하는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일상회복 응원의 메시지와 디지털성범죄를 근절시킬 연대의 형성 및 확산 공모분야: 동영상 및 이미지(웹툰) 중 택 1 자세히 보기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제2대 노동이사 임명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의 새 노동이사가 임명되었습니다.​ 제2대 노동이사로 임명된 황현영 대리(정책사업실 성평등교육사업팀)는 2014년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의 전신인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에 입사하여 경영기획팀, 정책사업실 등 인사·노무·복무 및 성인지교육 운영 등을 수행한 바 있습니다. 임기는 6월 8일부터 2024년 6월 7일까지 2년간으로, 앞으로 재단 주요 경영사항을 심의·의결하는 이사회 임원으로 참여하게 됩니다. 자세히 보기 2022년 「경기도 지역별 저출생 유형과 정책 방향」 토론회 지난 2022년 6월 9일(목), 「경기도 지역별 저출생 유형과 정책 방향」을 주제로 경기도여성가족재단 회의실에서 토론회를 개최하였습니다. 김수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인구정책연구센터 연구조교수, 김영혜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선임연구위원의 발표에 이어, 정혜원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정책연구실장의 진행 하에 차승은 수원대 아동가족복지학과 교수와 신서윤 인구보건복지협회 경기도지회 인구사업과장의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자세히 보기 2022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고위직 대상 폭력예방교육 지난 6월 20일(월),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팀장 이상급 고위직을 대상으로 폭력예방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강의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성폭력, 성매매, 성희롱, 가정폭력 4가지의 주제로, 건전한 성의식 및 성문화, 성폭력예방부터 성인지 관점에서의 가정폭력 예방까지 다루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자세히 보기 [경기WiFi 299호] 보다 성평등한 경기도의회를 위해 필요한 것은? 지난 6월1일에는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치러졌는데요. 그동안 정치영역의 성평등 문제는 여성의원의 비율을 양적으로 증가시키는 데 주목하면서, 성평등한 의회를 구성해가는 문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습니다. 정치영역의 성평등 실현은 여성 정치인의 수적인 증가의 문제를 넘어 의회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 의회 운영 전반에 성평등 관점을 녹여내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정치영역의 성평등을 실현·확대하는 작업은 의회를 구성하는 의원들의 성평등한 인식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경기도 의원들의 성평등 의식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성평등한 의회, 성평등한 정치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지 알아보겠습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경기WiFi 300호] 새로운 미래, 민선8기 경기도에 바란다 ① 6.1. 전국동시지방선거가 마무리된 이후 지금은 인수위원회 활동이 한창인데요. 경기도여성가족재단에서는 민선8기 출범을 앞두고 경기도 여성·가족정책의 미래 방향을 제안하는 이슈분석 보고서를 분야별로 나누어 발간했습니다. 연구결과가 도정에 반영되고 다시 새로운 과제 도출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바라며, WiFi에서는 민선8기에 바라는 정책을 두 차례에 걸쳐 소개할 예정인데요. 이번호에서는 젠더폭력 방지 정책, 저출생 대응 정책, 성평등정책 추진체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6월 16일부터 시행된 “가사노동자법”, 앞으로 무엇이 달라질까? 지난 5월 26일, 「가사노동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 [가사노동자법] 시행령 제정안이 심의·의결된 후, 6월 16일부터 "가사노동자법"이 시행되었습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가사서비스·가사노동자의 정의부터 6월16일의 의미, 가사노동자법의 시행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앞으로의 정부 계획, 이에 따른 경기도 과제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자세히 보기 새로운 미래, 민선 8기 경기도에 바란다: 저출생 대응 정책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민선 8기 출범을 앞두고 경기도 여성가족정책 이슈 및 방향을 제안하는 「새로운 미래, 민선 8기 경기도에 바란다」 이슈분석 시리즈 그 세 번째! 현재 경기도의 저출생 현황과 도민의 인식을 살펴보고, 새정부의 인구정책 방향을 검토하여 경기도의 저출생 대응 정책의 과제를 제시하는 ​「저출생 대응 정책」​입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지방의회의 성평등 수준 향상을 위한 연구: 경기도 광역의회를 중심으로 경기도여성가족재단에서는 민선 8기 출범을 앞두고, 지방의회의 성평등 수준을 점검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는데요. 본 연구에서는 성평등한 의회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 경기도의회를 중심으로 지방의회의 성평등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보았습니다. 의회의 성평등은 의회의 구성과 운영 전반에 성평등 관점을 녹여내는 것으로, 여성 의원의 수적인 비율의 증가만을 의미하지 않는데요. 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 의원의 비율과 의회 내에서의 역할 뿐 아니라 경기도의회의 성평등 관련 제도나 문화, 의원들의 성평등 의식 등을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본 메일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보내드리는 발신전용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16207)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 (파장동 179) 신관 2층 | 대표전화 : 031) 220-3900 Copyrightⓒ gwff. All rights reserved. -->

      > 재단 간행물 > 재단 소식지

    • [뉴스레터 제 191호]2022 경기도 성평등 정책 네트워크 시·군 홍보물 성인지 모니터링단 모집 2022-06-15

      2022 경기도 성평등 정책 네트워크 시·군 홍보물 성인지 모니터링단 모집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양성평등센터에서 성인지 관점에서 시·군 홍보물을 모니터링할 「2022 경기도 성평등 정책 네트워크 시·군 홍보물 모니터링단」을 모집합니다. 접수기간 : ~ 6.19.(일) 23:59까지 모집대상 : 홍보물 성인지 모니터링에 관심 있는 시민(네트워크 참여 시·군 거주자) 접수방법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교육포털을 통해 접수 제출서류 : 2022년 『성평등 정책 네트워크 홍보물 성인지 모니터링단』 지원서, 홍보물 모니터링 결과서, 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제공 동의서, 활동이력 증빙서류 결과발표 : 6.28.(화) 활동기간 : 6. ~ 11. (6개월) 활동내용 : 역량강화 워크숍 / 홍보물 모니터링 활동 / 결과보고회 참여 2022년 경기도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족센터 온·오프라인 간담회 지난 6월 8일(수), 도내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족센터 온·오프라인 간담회를 개최하였습니다. 간담회는 2022년 협업사항 논의 및 협의체계를 구축하고, 재단 주도 대내외 네트워킹 강화 및 성과 환류의 목적으로 진행되었는데요. 경기도 가족다양성 연구 및 토론회, 지원사업에 대한 발표와 경기도 아빠하이, 부모학교 등 재단의 주요사업을 공유하고, 협업사항 논의 및 센터 현장의견 수렴의 장이 마련되었습니다. 자세히 보기 2023년도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1차 수요조사 경기도여성가족재단에서 2023년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수요조사(1차)를 실시하고자 합니다. 제출해주신 제안서는 2023년 연구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조사기간: ~ 6.24.(금) ▶조사대상: 경기도, 경기도의회, 31개 시군, 여성가족 유관기관, 도내 공공기관, 도내 대학교, MOU 체결기관, 성별영향분석평가 컨설턴트, 경기도민 등 ▶문의처: 정책연구실 연구관리 담당자(031-220-3984) 자세히 보기 지구를 살리는 재단 임직원의 일주일 우리 재단 임직원은 환경보호를 위한 공동 노력 차원에서 일상에서의 실천을 통해 그 뜻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많은 동참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지구를 살리는 '다온이'의 목요일 지구를 사랑하는 '다온이'도 지난 목요일, '올바른 분리수거 실천하기'의 날을 맞이하여 올바른 분리수거를 실천해 보았습니다. [비우고, 헹구고, 분리하고, 섞지 않고] '재활용품 분리배출 원칙'을 꼭 기억해 주세요. 자세히 보기 [경기WiFi 298호] 남성 육아휴직 경험과 제도개선 방안은? 최근 인사혁신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육아휴직을 사용한 남성 국가공무원 비율이 40%를 넘어섰습니다. 그간 공공부문에서 부부가 함께 참여하는 육아 환경 조성을 위해 승진경력 인정, 수당 확대 등 다양한 육아휴직 정책을 추진해온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의 육아휴직제도 추진은 민간으로 넘어가는 중간다리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경기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남성 육아휴직자의 육아휴직 경험 실태와 사례를 살펴보고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한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새로운 미래, 민선 8기 경기도에 바란다: 젠더폭력방지정책, 경기도 방향은? 2022년 6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마무리 되면서 민선8기 새 지방정부 출범이 불과 한 달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민선8기 출범을 앞두고 경기도 여성가족정책의 현재를 점검하고 미래 방향을 제안하는 이슈분석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 중 '젠더폭력' 예방과 방지를 위한 정책제안을 함께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새로운 미래, 민선 8기 경기도에 바란다: 성평등정책 추진체계 강화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민선 8기 출범을 앞두고 경기도 여성가족정책 이슈 및 방향을 제안하는 「새로운 미래, 민선 8기 경기도에 바란다」 이슈분석 시리즈 그 첫 번째! 경기도 성평등정책 추진체계 관련 쟁점에 대한 분석 및 민선8기 성평등정책 추진체계의 개편, 강화 방안을 제안하는 「성평등정책 추진체계 강화」입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성불평등 위기에도 불구하고, 여성가족부 폐지 논의에 가려 성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공적 추진체계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 지속되었는데요. 6월 지방선거를 통해 민선8기가 새롭게 출범하는 시기를 맞이하여 경기도의 현황과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정책 추진 체계를 위한 다양한 논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새로운 미래, 민선 8기 경기도에 바란다: 젠더폭력방지정책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민선 8기 출범을 앞두고 경기도 여성가족정책 이슈 및 방향을 제안하는 「새로운 미래, 민선 8기 경기도에 바란다」 이슈분석 시리즈 그 두 번째!​ 경기도의 젠더폭력현황과 젠더폭력방지정책의 주요 성과와 추진체계를 살펴보고 민선8기 정책방향과 과제를 제안하는 「젠더폭력방지정책」입니다. 5월 9일 출범한 새정부의 사회부문 국정목표는 “따뜻한 동행, 모두가 행복한 나라”인데요. 그 중,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시스템 확립” 관련 목표는 “범죄피해자 보호·지원관련 제도의 피해자 중심 전환”입니다. 따라서, 향후 젠더폭력의 특수성을 고려한 피해자 보호 등 정책추진을 고려하며 경기도 정책을 만들어가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본 메일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보내드리는 발신전용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16207)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 (파장동 179) 신관 2층 | 대표전화 : 031) 220-3900 Copyrightⓒ gwff. All rights reserved. -->

      > 재단 간행물 > 재단 소식지

    • [뉴스레터 제 187호]경기도여성가족재단x'배달특급'제휴안내 2022-04-15

      경기도 우리아이지킴 1,000인의 홍보대사 모집안내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경기도민의 아동학대 감수성 향상과 아동학대예방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식 확산을 위해 '경기도 우리아이지킴 1,000인의 홍보대사'를 모집합니다.우리 아이들의 행복을 위해 '경기도 우리아이지킴 1,000인의 홍보대사'에 동참해주세요. 자세히 보기 어린이날 100주년 기념 어린이를 위한동시(詩) 공모전 안내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어린이날 100주년을 맞이하여, 아동의 건전한 성장을 위한 사회 분위기 조성과 아동권리존중에 대한 인식 개선을 도모하고 경기도민의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어린이날 100주년 기념 어린이를 위한 동시(詩) 공모전'을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관심있는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2022 경기아이사랑 부모학교부모성장 프로젝트 참여자 모집 자녀를 양육하면서 한번쯤은 생각했던 고민들,조언을 구할 사람을 찾지 못하거나 말하기 어려웠던 적이 있나요? 이제 경기도 부모 성장 프로젝트 1:1 상담과 맞춤형 교육으로 고민을 함께 나누어보세요. '2022 경기아이사랑 부모학교 부모성장 프로젝트'를 통해 함께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2022 경기도 성평등한 직장문화 만들기찾아가는 교육 신청기관 모집 경기도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에서 도내 성평등한 직장문화 조성을 위해 '2022년 경기도 성평등한 직장문화 만들기 찾아가는 교육' 신청기관을 모집하오니,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신청 바랍니다. 자세히 보기 여성NGO 단체 비대면 디지털활동 현황과 과제 비대면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은 전통적으로 대면과 집합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여성단체의 학습, 소모임, 교육 및 상담, 캠페인 등 성평등 활동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습니다. 코로나 펜데믹의 영향으로 비대면 디지털 기술 활용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성평등정책 협력자인 여성NGO단체의 디지털 활동 역량에 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2021년도 경기도 성평등기금을 수행한 단체의 사업을 중심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사업 운영의 어려움과 비대면 활동을 파악하고, 관련 지원 사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코로나19 시대 필수노동과 여성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감염위험에도 '대면노동'을 지속해야 하는 필수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모든 대면노동자가 코로나19와 관련한 필수노동자는 아니지만, 코로나19시대 필수 노동의 주요 특징의 하나는 '대면노동'이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본 이슈분석에서는 최근 발표된 '제6차 근로환경조사(2020~2021)' 원자료를 활용해 전국 및 경기도 취업자 중 대면노동자의 규모와 성별 현황을 살펴보았습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삶의 질과 주거공간 ① 인간다운 삶을 위한 집이란? 따뜻한 햇살에 기분이 졸아지는 봄날이 왔습니다. 봄이 없었다면 우리의 삶은 어떨까요? 추위와 위험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지 못하면 일상은 물론 삶 전체가 불안해집니다. 그런 면에서 봄은 집과 비슷한 데가 있습니다. 집은 안락과 안정, 안전을 보장 합니다. 공간은 인간적인 삶을 위한 기본 토대입니다. 삶의 질을 향상하고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충족시키는 주거 공간에 대해 경기 WiFi 290호 ~ 291호 2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삶의 질과 주거공간 ② 경기도 1인가구, 주거문제와 대안은? 1인가구의 증가 추세는 전 세계적 현상인 동시에 국내에서도 두드러지는 현상입니다. 최근 경기도의 1인가구가 빠르게 급증하면서 도내 약 네가구 중 한가구를 차지할 정도로 1인가구의 비중이 높아졌습니다. 빠르게 새로운 주거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1인가구의 주거문제를 통해 도내 1인가구가 직면한 문제점을 짚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들을 살펴봤습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본 메일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보내드리는 발신전용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16207)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 (파장동 179) 신관 2층 | 대표전화 : 031) 220-3900 Copyrightⓒ gwff. All rights reserved. -->

      > 재단 간행물 > 재단 소식지

    • 코로나19 시대 필수노동과 여성 2022-03-24

      1111

      > 연구보고서 > 이슈분석

    • [뉴스레터 제 185호]2022 도민 대응감시단 모집 2022-03-15

      도민 대응감시단 활동 안내 "2021년 경기도 도민 대응감시단"의 빛나는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2022년' 도민대응감시단이 궁금한 경기도민에게 '2021년' 경기도 도민 대응감시단이 말하는 “나는 도민 대응감시단입니다.”를 함께 만나보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도민 대응감시단 모집 홍보영상 디지털성범죄 근절을 위한 언제 어디서나 함께하는 2022년 도민 대응감시단을 모집합니다. 재단 공식 유튜브 채널 '구읏TV'를 통해 「2022 도민 대응감시단」모집 홍보영상을 함께 보시겠습니다. ■ 모집기간: 3월 11일(금)부터 3월 25일(금) ■ 모집대상: 20세 이상 경기도민(경기도 재학 및 재직자 포함),본인 SNS를 운영하고 있는자, 관련 교육 및 활동 경험자 우대 자세히 보기 새로운 미래, 경기도 성평등 정책과제는?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2022년 3.8 세계여성의날을 맞아 "새로운 미래, 경기도 성평등 정책방향 및 과제" 토론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WiFi에서는 토론회 내용을 중심으로 , '코로나19 이후 경기도 여성의 변화된 삶과 정책과제', 그리고 '성평등한 경기도의 미래를 그리기 위한 정책의제'들을 함께 살펴봅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젠더의 관점으로 본 탄소중립 기후 문제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하게 대두되고 있는 핫 이슈입니다. 이같은 추세에 발 맞춰 우리 사회도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과 비전을 담은 기후정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정책들 속에 '젠더'에 대한 고민과 배려는 얼마나 담아내고 있을까요? 탄소중립기본법 시행을 앞두고 있는 지금, 갈수록 심해지는 기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젠더의 관점에서 점검해 보았습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경기도 거점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에 관한 연구 2021년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이 수립됨에 따라 경기도는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을 토대로 하여 「경기도가족정책 기본계획(2021∼2025)」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에서는 가족다양성 존중을 주요 방향으로 하여 세부계획을 제시하고 있으며, 경기도 가족정책 역시 이러한 중앙정부의 기조를 바탕으로 하여 유연하고 포괄적인 가족정책이 추진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직접 사업을 수행하는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이 중요하며, 경기도 31개 시군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경기도 특성화 가족 사업을 추진하고 각 지역 간 연대 및 연계를 통한 통합적 사업 추진을 위한 구심점 역시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가족이 존중받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경기도 및 31개 시·군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효율적 가족정책 추진을 위하여 경기도 거점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 및 운영 방향을 도출하고자 합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본 메일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보내드리는 발신전용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16207)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 (파장동 179) 신관 2층 | 대표전화 : 031) 220-3900 Copyrightⓒ gwff. All rights reserved. -->

      > 재단 간행물 > 재단 소식지

    더보기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