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폭력' 에 대한 통합 검색 결과 총 140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은 피해자 중심의 서비스 통합지원, 포용적 거버넌스를 구축합니다. 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 홈페이지 바로가기 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소개 젠더폭력이란 사회의 제도·법·정책에 깊게 박힌 구조로부터 야기되는 폭력으로 가정폭력, 성폭력, 디지털성범죄, 스토킹범죄, 데이트폭력, 성착취 등을 의미합니다. 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은 도내 젠더폭력 방지 안전망 구축을 위해 2본부 7팀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수탁운영 > 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
청백리마당 신고 유형 부패행위 직무와 관련하여 지위 또는 권한을 남용하거나 법령을 위반하여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도모하는 행위 행동강령 위반 재단 임직원이 직무수행과정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임직원행동강령 위반행위 연구윤리 위반 연구과제 수행 과정에서 발생한 연구부정행위(위‧변조, 표절, 중복게재 등 연구윤리 위반) 공익신고 국민의 건강과 안전, 환경, 소비자의 이익 및 공정한 경쟁을 침해하는 공익침해행위 청탁금지법 위반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에 따른 부정청탁, 금품 등의 수수금지 등 갑질행위 신고 임직원의 직무관련자(계약업체 등 이해관계자)에 대한 부당한 압력행사 및 직장내 불이익 처우 등 인권침해 및 구제신청 재단 「인권경영 이행지침」에 따른 인권침해 또는 차별행위에 대한 피해신고 및 상담접수 성희롱‧성폭력 고충상담 접수 「양성평등기본법」 등 관련법령 및 재단 「성희롱 및 성폭력 예방지침」에 따른 임직원 피해상담 접수 신고하기 공익신고책임관: 감사관(031-220-3990/hanscastle21@gwff.kr) 외부 공익신고 국민권익위원회 부패공익신고 경기도 공익제보 핫라인 경기도 인권침해 상담·구제신청
> 공정투명경영 > 청백리 마당
서브페이지 탭 인구 (선택됨) 가구 및 가족 보육 교육 경제활동 건강 복지 정치 및 사회참여 문화 및 정보미디어 안전 및 환경 그림으로 보는 통계(전체보기) 2020 경기도 성인지 통계 2019 경기도 시군별 성인지 통계 --> 인구 총인구 : 경기도 총인구(주민등록인구)는 남녀 모두 꾸준히 증가 경기도 총인구(남성, 여성,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여성 6,499,652명 6,579,671명 6,672,545명 6,738,152명 6,839,276명 6,855,895명 남성 6,577,501명 6,659,995명 6,754,469명 6,827,298명 6,750,156명 6,774,926명 여성비율 49.7% 49.7% 49.7% 49.7% 50.3% 50.3% 주: 외국인 제외 자료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출생아 수 및 출생성비 : 출생아 수 지속적 감소, 남아가 여아보다 약4% 많은 경향 출생아(여아, 남아, 남아출생성비)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아 43,063명 40,461명 38,114명 37,282명 36,520명 남아 45,112명 42,737명 39,623명 38,857명 38,803명 남아 출생성비 104.8% 105.6% 104.0% 104.2% 106.3% 주 : 여아 100명당 남아수 자료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가구 및 가족 성별 가구주 : 여성가구주는 5년 전보다 약 36만명 증가 성별 가구주(여성, 남성, 여성가구주 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1,353,624명 1,432,305명 1,542,065명 1,654,557명 1,721,440명 남성 3,397,873명 3,475,355명 3,556,366명 3,636,105명 3,685,523명 여성 가구주 비율 28.5% 29.2% 30.2% 31.3% 31.8% 주 : 일반가구 대상 자료 : 통계청, 인구총조사 성별 1인 가구 : 여성 1인 가구는 5년 전보다 약 20만명 증가 성별 1인 가구(여성, 남성,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550,545명 594,699명 647,934명 707,251명 752,029명 남성 647,041명 696,194명 758,076명 835,849명 882,118명 여성 가구주 비율 46.0% 46.1% 46.1% 45.8% 46.0% 주 : 15세 이상 일반가구 대상 자료 : 통계청, 인구총조사 혼인 및 이혼 : 인구 1천명 당 혼인 건수는 감소 추세, 이혼건수는 2020년 이후 감소 혼인 및 이혼(혼인건수, 이혼건수 조혼인율, 조이혼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혼인건수 66,877건 62,356건 57,814건 54,658건 54,178건 이혼건수 27,884건 28,453건 27,983건 27,256건 24,864건 조혼인율(천 명당 건) 5.2건 4.8건 4.4건 4.0건 조이혼율(천 명당 건) 2.2건 2.2건 2.1건 2.0건 1.8건 주 : 조혼인율/조이혼율 = 1년간 발생한 총 혼인/이혼건수를 당해연도 주민등록 연앙인구로 나눈 수치를 1,000분비로 나타낸 것 자료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보육 보육대상 아동 : 보육 대상 아동 수는 여아, 남아 모두 감소 추세 보육대상 아동(여아, 남아)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여아 330,543명 317,573명 300,216명 279,542명 260,207명 244,805명 남아 347,337명 333,698명 315,492명 293,242명 273,289명 256,582명 주 : 0~5세 아동 자료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일/생활균형 : 육아휴직 남성 이용 비율은 점차 늘고 있으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 남성 사용은 10% 일 생활균형 : 육아휴직의 여성, 남성, 남성비율에 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15,669명 16,386명 17,295명 16,620명 19,585명 남성 3,169명 4,250명 5,425명 5,858명 7,788명 남성비율 16.8% 20.6% 23.9% 26.1% 28.5% 일 생활균형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의 여성, 남성, 남성비율에 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704명 1,124명 2,854명 3,319명 4,026명 남성 124명 171명 353명 333명 456명 남성비율 15.0% 13.2% 11.0% 9.1% 10.2% 주 : 모성보호급여를 처음으로 지급받은 인원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EIS 고용행정통계 어린이집 이용 아동 : 전체 어린이집 이용 아동 중, 국공립 어린이집 이용률은 꾸준히 증가 어린이집 이용 아동(어린이집 이용 아동 수, 국공립 어린이집 이용 아동 수,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어린이집 이용 아동 393,149명 389,004명 358,813명 350,117명 331,516명 311,814명 국공립 어린이집 이용 아동 46,461명 56,136명 63,480명 70,403명 75,054명 80,091명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 11.8% 14.4% 17.7% 20.1% 22.6% 25.7% 자료 : 보건복지부, 보육통계 교육 평균 교육 년수 : 성별 평균 교육 년수는 비슷한 수준이나 여성이 남성보다 다소 짧아 평균 교육 년수(남성, 여성)에 관한 표 구분 2010 2015 2020 여성 10.8년 11.9년 12.4년 남성 11.7년 13.1년 13.3년 주 : 재학생, 미상 제외 자료 : 통계청, 인구총조사 전수(2020), 표본(2015, 2020) 고등교육기관의 여성교원 비율 : 고등교육기관의 여성교원 수는 등락을 반복하고 있으나 그 비율은 증가 추세 고등교육기관의 여성교원 비율(전체, 여성,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전체 15,464명 15,158명 15,002명 15,531명 14,571명 여성 5,734명 5,688명 5,692명 5,984명 5,692명 여성비율 37.1% 37.5% 37.9% 38.5% 39.1% 주 : 각년도 4월 기준 자료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경제활동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참가율의 성별격차는 다소 감소 경제활동참가율(여성, 남성, 성별격차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여성 52.7% 53.2% 51.3% 53.4% 54.9% 56.1% 남성 76.2% 75.5% 74.3% 74.7% 76.7% 75.9% 성별격차비율 23.5%P 22.3%P 23.0%P 21.3%P 21.8%P 19.8%P 자료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성별임금격차 : 성별임금격차는 미미한 수준에서 감소중이나 여전히 34.5% 차이 성별임금격차(여성, 남성, 임금격차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201.0만원 207.8만원 209.0만원 219.0만원 237.1만원 남성 325.9만원 331.2만원 331.3만원 345.0만원 362.0만원 임금격차비율 38.3% 37.3% 36.9% 36.5% 34.5% 자료 :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각 년도별 하반기) 원자료 분석 건강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율 :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해 '좋다'고 느끼는 성별격차 증가 성별임금격차(여성, 남성, 임금격차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20 2022 여성 46.9% 47.0% 49.5% 남성 50.1% 54.9% 57.1% 성별격차 3.2%P 7.9%P 7.6%P 주1 : 13세 이상 인구 주2 : 건강상태에 대한 '매우좋음', '좋은편임'으로 응답한 비율임 자료 : 통계청, 사회조사 원자료 분석 우울증상으로 인한 정신상담률 : 우울증상으로 인한 정신상담률 여성 증가, 남성 다소 감소 성별임금격차(여성, 남성, 임금격차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21.9% 23.1% 22.9% 23.4% 28.1% 남성 19.4% 17.4% 21.8% 23.6% 21.7% 자료 : 질병관리청,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자료 분석 복지 국민연금가입자 : 국민연금가입자 수는 다소 감소, 여성이 남성보다 적게 나타나 국민연금가입자(여성, 남성,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2,306,135명 2,347,375명 2,384,701명 2,464,301명 2,504,314명 남성 3,017,540명 3,030,233명 3,040,599명 3,105,524명 3,151,775명 여성비율 43.3% 43.7% 44.0% 44.2% 44.3% 자료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통계 구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수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아 경제적으로 취약 국민연금가입자(여성, 남성,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154,810명 172,699명 199,548명 222,644명 234,625명 남성 126,695명 139,812명 163,440명 181,977명 190,072명 여성비율 55.0% 55.3% 55.0% 55.0% 55.2% 자료 :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현황 정치 및 사회참여 국회 및 지방의회 : 국회 및 지방의회 여성의원 비율은 상승세 국회의원(여성, 전체,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6 2020 2024 여성 7명 11명 14명 전체 60명 59명 60명 여성비율 11.7% 18.6% 23.3% 도의회 의원(여성, 전체,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4 2018 2022 여성 20명 32명 35명 전체 156명 142명 128명 여성비율 15.6% 22.5% 22.4% 시/군의회 의원(여성, 전체,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4 2018 2022 여성 135명 176명 195명 전체 431명 446명 463명 여성비율 31.3% 39.5% 42.1% 주 :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원을 합한 수치임 자료 : 중안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지방자치단체 : 관리직 5급 이상 자치단체 여성공무원 비율 지속 상승 지방자치단체 5급이상 관리직(여성, 전체,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519명 597명 694명 841명 989명 전체 3,078명 3,223명 3,204명 3,168명 3,048명 여성비율 14.4% 15.6% 17.8% 21.0% 24.5% 주 : 지자체 5급 이상 자료 :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통계 문화 및 정보미디어 인터넷 이용자 중 화상회의 및 원격근무 경험 : 2020년 화상회의 및 원격근무 이용률은 여성이 남성보다 약 4%p 정도 낮아 화상회의 경험자 중(여성, 남성 비율)에 관한 표 전체 20.5% 여성 8.2% 남성 12.3% 원격근무 경험자 중(여성, 남성 비율)에 관한 표 전체 17.5% 여성 6.8% 남성 10.7% 주 : 만 3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원자료 분석 여가생활만족도 : 여성, 남성 모두 2023년 여가 생활 만족도 다소 상승 여가생활이 만족스럽다고 하는 여성, 남성 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9 2021 2023 여성 30.4% 11.6% 17.4% 남성 31.3% 12.0% 18.4% 여가생활이 불만족스럽다는 여성, 남성 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9 2021 2023 여성 19.5% 32.2% 26.1% 남성 17.2% 28.2% 23.5% 안전 및 환경 범죄발생에 대한 안전인식 : 범죄발생에 대한 안전하다고 느끼는 성별 격차 2020년 보다 다소 감소 범죄발생에 대한 안전인식에 관한 표 구분 2018 2020 2022 여성 10.8% 20.5% 20.9% 남성 20.3% 32.3% 30.9% 성별격차 9.5%p 11.8%p 10%p 주 : 범죄발생에 대한 '안전함'이라고 응답한 비율임 자료 : 통계청, 사회조사 젠더폭력 : 디지털성범죄 5년전보다 1900건 이상 증가 젠더폭력 유형별 발생건수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총계 2,865건 2,106건 3,017건 3,404건 4,782건 음란물 유포(주1) 816건 336건 398건 221건 154건 카메라등 이용촬영(주2) 1,401건 1,317건 1,384건 1,354건 1,398건 통신매체 이용음란(주2) 370건 325건 534건 1,369건 2,807건 아동청소년 음란물배포(주3) 278건 128건 701건 460건 423건 주1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법률(음란물 유포) 주2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통신매체 이용음란) 주3 :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음란물제작/배포 등) 자료 : 경찰철, 경찰청범죄통계 _
> 경기여성가족통계 > 그림으로보는통계
경기도여성가족재단 20주년 기념 연구보고서 100선 2025-06-16
경기도여성가족재단 20주년을 기념하여 지난 20년 간 발간한 연구보고서 중 100건을 선정하였습니다. 재단은 지난 20년 간 해왔던 것처럼 향후에도 성평등하고 가족이 행복한 경기도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연구보고서 100 선 (2005~2025) * 연구과제명을 선택하시면 연구소개 및 보고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 일부 수탁과제 제외 ) 연번과제연도연구과제명과제번호12005경기도 5개 주요정책의 성별영향평가정책 05-0122005경기도 공공근로사업의 성별영향평가정책 05-0532005경기여성백서 2004수탁 05-0342006경기도 가족정책기본계획 연구정책 06-0252006경기도 여성발전 5개년 계획 중간점검 및 보완책 마련정책 06-0362006경기도 여성교육훈련기관의 프로그램 분석 및 재정비 방안정책 06-0572006여성희망일터지원본부 설치 및 운영방안 연구수탁 06-0182007경기도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정책 07-0292007경기도 취업여성의 영아보육 지원방안정책 07-04102007경기도 시・군 여성정책 평가지표 개발정책 07-11112007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보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정책 07-13122007경기여성 Jump Up Plan : 제2차 경기여성인적자원개발종합계획(2008~2010)수탁 07-02132008경기도 청소년정책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08-06142008제3차 경기도 여성정책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08-19152008경기도 성별영향평가의 성과 및 추진 개선방안 연구정책 08-21162008「경기도 꿈나무 안심학교」 운영모델 개발수탁 08-03172009경기도 성차별적 자치법규 개선방안 연구정책 09-03182009경기도 가정보육교사제도 운영 개선방안 연구정책 09-06192009여성장애인 가정폭력・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운영방안 연구정책 09-09202009경기도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연구정책 09-27212009경기도 성별영향평가 과제의 정책환류 및 제도화 방안 분석수탁 09-02222010경기도 북한이탈주민 생활실태와 취업지원 방안 연구정책 10-06232010경기도 다문화가족 생활실태 및 지원정책 연구정책 10-10242010경기도 보육시설 미이용 영아 실태조사정책 10-13252010경기도 아동급식사업 평가지표 개발 및 수혜자만족도 조사정책 10-18262010결혼이민자 적합직종 및 취업연계방안 연구수탁 10-01272011경기도 저출산 대책 기본계획(2011~2015) 수립 연구정책 11-06282011경기도형 지역아동센터 모델개발 연구정책 11-08292011경기도 가정보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정책 11-11302011경기도민 여성가족정책 수요조사정책 12-053120112011년 경기도 여성발전기금 공모사업 평가수탁 11-06322012다문화가정 중도입국 자녀 초기적응 지원방안 연구정책 12-06332012북한이탈주민 인권침해 실태조사정책 12-17342012경기도 아동청소년정책 기본계획(2013~2017) 수립 연구정책 12-19352012경기도 시군 출산환경지수 개발 연구정책 12-21362012경기도 일용직 근로자 관련 정책수립 연구수탁 12-04372013제4차 경기도 여성정책기본계획(2014~2017) 수립 연구정책 13-10382013경기도 다문화가족정책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연구정책 13-11392013저소득층 자녀 생활장학금 지원사업의 효율적 운영방안정책 13-13402013경기도 가정폭력 가해자 교정・치료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정책 13-174120132013년 경기도 청소년활동 우수프로그램 공모사업 평가수탁 13-02422014경기도 지역특성을 고려한 특성화가족사업 발굴정책 14-05432014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정책 14-25442014경기도 “일하기 좋은 기업” 근로자의 일-가족 양립 의식 조사정책 14-31452014경기도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해아동 보호체계 구축 방안정책 14-36462014경기도 농촌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한 연구수탁 14-04472015경기도 어린이집 다문화교육 실태조사정책 15-13482015경기도민의 폭력 허용태도 조사정책 15-17492015「양성평등기본법」 시행에 따른 경기도 여성정책 추진방향 연구정책 15-23502015제3차 경기도 저출산대책 기본계획(2016~2020) 수립 연구정책 15-325120152015년 의정부시 성인지 통계수탁 15-02522016경기도 청소년 자살 현황과 대응방안정책 16-04532016청년여성 '일 경험' 실태조사정책 16-09542016성매매여성의 탈성매매과정 연구정책 16-13552016경기도 보육재정 효율화 방안 연구정책 16-20562016여성친화도시조성을 위한 양성평등정책 중장기계획 수립수탁 16-09572017경기도 감정노동자 규모추정 및 현황 분석정책 17-02582017경기도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17-08592017경기도 영유아 인성교육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17-20602017경기도 비정규직 고용개선 종합계획(2018~2022) 수립 연구정책 17-31612017제1차 경기도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2018~2022) 수립 연구정책 17-47622017경기도 감정노동자 고용현황 및 노동환경 실태조사수탁 17-03632018경기도 1인 가구 삶의 질 연구정책 18-23642018경기도 시군 성평등 관리지표 개발 연구정책 18-28652018지역중심의 인구정책 추진을 위한 출산친화 환경 실태조사 정책 18-31662018경기도 성인지예산 운영 개선방안 연구 : 2017 경기도 성인지예 ・ 결산서 분석을 중심으로 정책 18-326720182018년 아동청소년 성매매의 특성분석 및 종합적 지원방안 연구수탁 18-07682019경기도형 돌봄체계 구축 방안정책 19-02692019경기도민의 차별과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 연구정책 19-15702019경기도 학교 밖 청소년 규모추정 및 현황 분석정책 19-17712019경기도 젠더폭력방지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19-19722019경기도 스포츠인권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수탁 19-02732020경기도 공공형 아동학대 대응모델 개발 연구정책 20-01742020경기도민 다문화수용성 연구정책 20-08752020경기도 아동정책 기본계획(2021~2025) 수립 연구정책 20-15762020경기도 기지촌여성 생활 실태 및 지원정책연구정책 20-187720202020년 화성시 맞춤형 인구정책 계획수립 연구수탁 20-067820212021년 경기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정책 21-02792021경기도 가족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21-03802021포스트 코로나시대, 여성가족정책 변화와 미래정책 21-06812021경기도 시군 성평등정책 추진기반 강화 방안 연구정책 21-11822021성남시 여성친화도시 2단계 조성 중장기 발전계획(2022~2026)수탁 21-09832022경기도 1인가구 정책 기본계획(2023~2027) 수립 연구정책 22-05842022경기도민의 가족다양성 인식조사정책 22-06852022경기도 내 소규모 사업장 성희롱 실태조사정책 22-10862022제4차 경기도 중장기 보육발전계획(2023-2027) 수립 연구정책 22-19872022제2차 경기도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2023~2027) 수립 연구정책 22-20882022일ㆍ생활 균형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수탁 22-05892023경기도민 성평등 의식 및 실태 조사정책 23-07902023가사서비스 제도화에 따른 경기도 노동시장 실태 분석정책 23-09912023경기여성사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정책 23-18922023경기도 학대피해아동의 보호조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정책 23-20932023인구감소시대, 다문화가족 정책수요와 중장기 정책방안 연구수탁 23-03942024경기도 은둔형 청소년 지원방안 연구정책 24-02952024경기도 시·군 가족센터 운영 실태 및 발전방안정책 24-06962024경기도 가정위탁보호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정책 24-09972024데이트폭력 예방교육 현황 및 강화방안정책 24-11982024경기도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실태조사정책 24-13992024경기도 여성 자영업자 노동환경 실태조사 정책 24-141002024과천시 보육정책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2025~2029)수탁 24-03
> 홍보관 > 경영성과보고서
경기도, '여성폭력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역량강화 사업' 추진 2025-05-16
경기도, '여성폭력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역량강화 사업' 추진○ 연중 여성폭력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지원 프로그램 운영○ 피해자 지원 상담기술 등 전문성 향상 교육운영부터 지속가능한 활동 위한 자조모임과 심리상담 지원2025.4.15.(화) 배포
> 언론보도 > 보도자료
2025년 여성폭력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역량강화 사업 2차 모집(~4/18) 2025-04-11
"젠더폭력 피해자를 위한 안정망을 더 너르고, 촘촘하게 만들기 위해 경기도와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이 함께합니다!"○모 집 명: 2025년 여성폭력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역량강화 사업 1차 참여자 모집○신청기간: (2차)2025. 4.14.(월) 10:00 ~ 4.18.(금) 16:00까지‣(참고)여성폭력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역량강화 사업 연간 모집 계획* 1차 모집 기간: 2025.2.24.(월) 10:00 ~ 2025.2.28.(금) 16:00 / 3~4월 교육,자기성장과 이해* 2차 모집 기간: 2025.4.14.(월) 10:00 ~ 2025.4.18.(금) 16:00 / 5~6월 교육* 3차 모집 기간: 2025.6.16.(월) 10:00 ~ 2025.6.20.(금) 16:00 / 7~8월 교육* 4차 모집 기간: 2025.8.11.(월) 10:00 ~ 2025.8.15.(금) 16:00 / 9~10월 교육‣1~4차 모집 기간 동안 동일 접수 링크를 활용하여 접수 진행○신청대상: 도내 여성폭력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및 시군 바로희망팀‣(참고)참여대상에 관한 상세 조건*국·도비 지원 여부와 무관하게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단체)지원가능*바로희망팀이 설치된 시군의 바로희망팀 소속 구성원 해당 *자조모임 바로희망팀 협력 경찰 공무원12개 팀은 바로희망팀 협력12개 경찰서의APO외 피해자 지원 경찰관으로 구성되어야 함. (대상 경찰서:부천 원미·소사·오정 경찰서,하남 경찰서,안산 단원·상록 경찰서,화성 동탄·서부경찰서,오산경찰서,과천경찰서)*자조모임의 경우,팀당5인 이상, 2개 기관 이상 소속 구성원으로 구성하여야 함. *동일 법인인 운영하는 독립된 시설 종사자 간 자조모임 구성 가능(예.경기여성가족재단이 운영하는1366경기센터와 디지털성범죄피해자원스톱지원센터 종사자 간 자조모임 신청 가능)○접수방법:- (전문성 강화교육)https://naver.me/GSD0IZLM접속 후 신청서 작성- (자조모임, 개별심리상담) 안내문 및 전문성 강화 교육 연간 일정 및 신청 서류 일체 확인 후 제출서류 이메일 송부*이메일 주소:ds-center@gwff.kr*이메일 제목: [종사자역량강화사업]자조모임(또는 심리상담)지원*붙임 파일명:이름(또는 팀명)_자기성장과 이해 신청,관계 서류 양식 준수○문의: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 교육홍보팀☎ 031-226-2417(내선 315)※위내용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자세한 사항은 안내문을 참고 바랍니다.
> 모집/행사
2025년 여성폭력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역량강화 사업 1차 모집(~2/28) 2025-02-25
"젠더폭력 피해자를 위한 안전망을 더 너르고,촘촘하게 만들기 위해경기도와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이 함께합니다!"(▼포스터 클릭 시 신청 바로가기)
> 모집/행사
[뉴스레터 제227호]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가족친화 일하기좋은기업 최초인증 2024-11-29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가족친화 일하기좋은기업 최초인증 가족친화적 직장문화 조성 우수기업 재단은 11월 20일 경기가족친화 일하기좋은 기업 인증서를 받았습니다. 여성폭력추방주간 맞아 다양한 이벤트 진행 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이 여성폭력추방주간을 맞아 다양한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경기여성평화포럼 개최 11월 6일 고양시 킨텍스에서 경기여성평화포럼을 개최했습니다. 경기도노인종합상담센터와 업무협약 체결 경기도아이돌봄광역지원센터는 11월 5일 경기도노인종합상담센터와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언제나 돌봄 서비스 신청 갑자기 아이를 맡겨야 할 때를 위해 아동언제나돌봄 서비스 신청안내 아동권리존중 실천하기 아동학대예방 주간을 맞아 아동권리 존중 실천하기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구읏 AI 탐험대 6차 강의 11월 1일 AI로 SNS콘텐츠 제작을 주제로 구읏AI탐험대 6차 강의와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해변 플로깅'쓰레기 줍기' 사회공헌활동 진행 11월 22일 재단 임직원들은 화성 매향항 인근에서 해변 플로깅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우리아이지킴 콘텐츠 공모전 시상 11월 23일 우리아이지킴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습니다. GWFF 통계인사이트 10호 발간 경기도 여성 국가자격기술 취득 추이와 현황을 주제로 GWFF통계인사이트 10호를 발행했습니다. 경기도메모리 플랫폼에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컬렉션' 페이지 오픈 경기도 메모리 플랫폼에 재단 컬렉션 페이지가 새롭게 개설됐습니다. 연구보고서 정책과제 데이트폭력 예방교육 현황 및 강화방안 백미연 연구위원 현안과제 경기도 아동돌봄 기회소득 지원방안 김미정 연구위원 정책과제 임신, 출산기 여성의 건강실태와 정책지원 방안 심선희 연구위원 모집 경기여성 국제포럼 사전등록 성별영향평가 정책개선 우수사례 경진대회 청중평가단 모집 재단 이야기 평온이, 다온이 12월 배경화면 다운로드 미리보는 12월 12월 11일 수요일 제20차 경기GPS 12월 16일 월요일 경기여성 국제포럼 사회공헌활동 진행, 자세히보기" coords="489,2204,607,2236" shape="rect" href="https://blog.naver.com/gfwri/223672386210" target="_blank"> -->
> 재단 간행물 > 재단 소식지
[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 2024년 여성폭력 추방주간 행사 안내 2024-10-30
[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 2024년 여성폭력 추방주간 행사 안내
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이하 대응단)은 여성폭력추방주간을 맞아
' 세상을 더 안전하게 , 실천하고 연결하는 경기도 ' 를 주제로 다채로운 이벤트를 펼칩니다 . 여성폭력추방주간은1999년 유엔(UN)이 정한 ' 세계 여성폭력 추방의 날 ' 11 월 25 일을 기념해 12 월 10 일까지 폭력 없는 환경 조성과 방지 의미를 되새기는 기간입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8 년 제정된 여성폭력방지기본법에 따라 2020년부터 성폭력 추방 주간과 가정폭력 추방 주간을 통합, 11 월 25 일부터 12 월 1 일까지 일주일간 진행됩니다 . 이를 기념해 대응단은'세상을 더 안전하게,실천하고 연결하는 경기도!'를 주제로 ▲ 기념식 ( 추적단 불꽃 원은지 대표 초청 강연 · 정책라운드테이블 – 11 월 28 일 ) ▲젠더폭력 통역지원단·도민예방단2024년 성과보고회(11월30일) ▲ ' 십대여성인권센터 ' 과 공공으로 아동 · 청소년 성착취 피해자 미술치료 작품 전시회 '상처,빛,그리고 치유'(11월20일~12월31일) ▲'안전한 경기도를 위한1000인의 챌린지'를 테마로 도민 참여형 온라인 캠페인 개최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세상을 더 안전하게, 실천하고 연결하는 경기도! 11월 25일 UN 세계 여성폭력 추방의 날 11.25 ~ 12.01 여성 폭력 추방 주간 *여성폭력추방주간 소개 여성폭력방지기본법에 근거하여 여성폭력 근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고취하고자 매년 11월 25일부터 12월 1일까지 시행되고 있으며, 성폭력추방주간 및 가정폭력추방주간을 통합하여 여성폭력추방주간으로 2020년부터 운영되고 있습니다. 2024 여성폭력추방주간 기념식 추적단불꽃 원은지 대표 초청강연 정책라운드테이블 11.28.(목) 15:00-18:00 경기도여성비전센터 감당 도민과 함께 실천한 2024년! 도민대응감시단·통역지원단 · 젠더폭력예방서포터즈 성과보고회 11.30.(토) 14:00~16:00 경기도여성비전센터 강당 온라인 캠페인 안전한 경기도를 위한 1000인 챌린지 '우리동네 여성폭력 피해지원시설 소개해DREAM' 11.01.-12.01. 온라인 전시회 '상처, 빛 그리고 치유' 11.20.-12.31. 경기도,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
> 공지사항
[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 2024년 여성폭력추방주간 행사 안내 2024-10-30
[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 2024년 여성폭력추방주간 행사 안내경기도젠더폭력통합대응단(이하 대응단)은 여성폭력추방주간을 맞아'세상을 더 안전하게, 실천하고 연결하는 경기도'를 주제로 다채로운 이벤트를 펼칩니다.여성폭력추방주간은 1999년 유엔(UN)이 정한'세계 여성폭력 추방의 날' 11월 25일을 기념해 12월 10일까지폭력 없는 환경 조성과 방지 의미를 되새기는 기간입니다.우리나라는 지난 2018년 제정된 여성폭력방지기본법에 따라2020년부터 성폭력 추방 주간과 가정폭력 추방 주간을 통합,11월 25일부터 12월 1일까지 일주일간 진행됩니다. 이를 기념해 대응단은'세상을 더 안전하게, 실천하고 연결하는 경기도!'를 주제로▲기념식(추적단 불꽃 원은지 대표 초청 강연 ·정책라운드테이블 – 11월28일) ▲젠더폭력 통역지원단 ·도민예방단 2024년 성과보고회(11월30일) ▲'십대여성인권센터'과 공공으로 아동 ·청소년 성착취 피해자 미술치료 작품 전시회'상처, 빛, 그리고 치유'(11월20일~12월31일) ▲'안전한 경기도를 위한 1000인의 챌린지'를 테마로도민 참여형 온라인 캠페인 개최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모집/행사
[뉴스레터 제223호] 경기도 아동언제나돌봄센터 발대식 개최 2024-07-31
경기도 아동언제나돌봄센터 발대식 개최 언제나 믿고 맡길 수 있는 경기도형 아동돌봄체계 구축 아동 언제나돌봄센터(핫라인 콜센터, 010-9979-7722) 통해 24시간 돌봄 연계 우리 재단은 7월 1일 경기도 아동언제나돌봄센터 발대식을 개최했습니다. 재단소식 재단 대표이사 취임 1주년 언론사 간담회 개최 김혜순 대표이사는 7월 17일 취임 1주년을 맞아 도내 주요 언론사와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대표이사 취임 1주년 라디오 인터뷰 출연 김혜순 대표이사는 7월 16일 경인방송 라디오 시선공감에 출연, 취임 1주년을 맞아 성과와 향후 계획을 밝혔습니다. 제6차 경기 GPS 개최 7월 25일 경기도 어린이집의 상호존중 조직문화 조성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을 주제로 제6차 경기 GPS 를 개최했습니다. GWFF 통계 인사이트(6호) 발간 범죄통계 속의 성폭력을 주제로 GWFF 통계 인사이트 6호를 발간했습니다. 경기복지재단과 업무협약 7월 18일 장애예술인 작품 임대 전시를 위해 경기복지재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부천시일시청소년쉼터와 업무협약 젠더폭력통합대응단은 7월 23일 부천시일시청소년쉼터와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화성 화재 피해 지원을 위한 성금 전달 7월 18일 화성 화재사고 피해자를 위해 모은 성금을 경기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전달했습니다. 타일벽화채색 임직원 재능기부 사회공헌활동 7월 4일 재단 임직원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경기도 평택에서 타일벽화채색을 했습니다. 구읏AI탐험대 7월 교육 및 실습 7월 24일 구읏 AI 탐험대가 7월 교육을 실시, 그림을 주제로 한 AI 실습을 했습니다. 젠더폭력통합대응단 통역지원단 위촉식 6월 28일 젠더폭력통합대응단 통역지원단 위촉식이 열렸습니다. 젠더폭력 예방 서포터스 발대식 7월 20일 경기도여성비전센터에서 젠더폭력 예방 서포터스 발대식이 개최됐습니다. 임직원 대상 성인지 교육 실시 7월 22일 경기도인재개발원에서 재단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성인지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연구보고서 현안과제, 유보통합 추진에 따른 경기도 육아종합지원센터 발전 방안 김미정 연구위원 현안과제, 경기형 가족돌봄수당 지원 방안 연구 김지현,김미정 연구위원 현안과제, 경기도 여성비전센터의 기능 재정립과 여성·가족을 위한 광역 서비스 제공기관에 관한 연구 양정선 선임연구위원 모집 24시간 아이돌봄 서비스 신청 안내 카드뉴스 경기도아동돌봄광역지원센터 카드뉴스 3편 재단 이야기 평온이, 다온이 8월 배경화면 다운받으세요 미리보는 8월 구읏문화센터 : 8월 6일 구읏 AI 탐험대 4차 교육 : 8월 21일 -->
> 재단 간행물 > 재단 소식지
[전략사업] 2024년 강사은행 전문강사 무료 파견 기관 모집 2024-05-02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평등으로 한걸은, 더따뜻한 경기 2024 경기도여성가족재단 / 강사은행 무료파견 / 선착순 150개 기관 모집 경기도의 성평등하고 양육친화적인 문화환경 조성을 위해 2005년부터 강사은행 전문강사 무료파견 운영!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의 사회공헌 사업입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평등으로 한걸은, 더따뜻한 경기 강사은행 무료파견이란? 교육이 필요한 곳에 전문강사 무료연계 교육의 필요성을 체감하지만 강사섭외가 어려운 기관! 강사료가 부담되는 소규모 사업장이나 복지시설! 지원대상:경기도내 / -종업원 50인 미만 사업장 / -소규모 복지시설, 기관, 단체 등(지역아동센터,청소년쉼터, 한부모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민간어린이집, 작은도서관 등) 교육내용 / -4대폭력 예방교육(성폭력,성희롱,성매매,가정폭력), 양성평등교육 / -대상별 맞춤형 부모교육(영유아,아동,청소년 자녀를 둔 (조)부모), 성교육 / -아동학대예방교육(8월~12월) 교육비용: 1시간, 무료(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전액 지원) 경기도여성가족재단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평등으로 한걸은, 더따뜻한 경기 무료파견 신청하기 신청기간: 선착순 150개 기관(기관별 1회 한정) 경기도여성가족재단 홈페이지 경기여성인재뱅크접속 > 강사은행-강사신청-무료파견 클릭 > 정보등록 후 증빙자료 첨부 > 재단 담당자 확인 후 연게진행 구비서류 / 경기도내 종업원 50인 미만 사업장 > 사업자등록증,사회보험남부증명서(인원명시)>소규모복지시설>고유번호증,시설신고증(인가증) 문의사항: 전략사업팀(031-220-3984 / potbank@gwff.kr) 경기도여성가족재단
> 카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