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별임금격차' 에 대한 통합 검색 결과 총 13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서브페이지 탭 인구 (선택됨) 가구 및 가족 보육 교육 경제활동 건강 복지 정치 및 사회참여 문화 및 정보미디어 안전 및 환경 그림으로 보는 통계(전체보기) 2020 경기도 성인지 통계 2019 경기도 시군별 성인지 통계 --> 인구 총인구 : 경기도 총인구(주민등록인구)는 남녀 모두 꾸준히 증가 경기도 총인구(남성, 여성,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여성 6,499,652명 6,579,671명 6,672,545명 6,738,152명 6,839,276명 6,855,895명 남성 6,577,501명 6,659,995명 6,754,469명 6,827,298명 6,750,156명 6,774,926명 여성비율 49.7% 49.7% 49.7% 49.7% 50.3% 50.3% 주: 외국인 제외 자료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출생아 수 및 출생성비 : 출생아 수 지속적 감소, 남아가 여아보다 약4% 많은 경향 출생아(여아, 남아, 남아출생성비)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아 43,063명 40,461명 38,114명 37,282명 36,520명 남아 45,112명 42,737명 39,623명 38,857명 38,803명 남아 출생성비 104.8% 105.6% 104.0% 104.2% 106.3% 주 : 여아 100명당 남아수 자료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가구 및 가족 성별 가구주 : 여성가구주는 5년 전보다 약 36만명 증가 성별 가구주(여성, 남성, 여성가구주 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1,353,624명 1,432,305명 1,542,065명 1,654,557명 1,721,440명 남성 3,397,873명 3,475,355명 3,556,366명 3,636,105명 3,685,523명 여성 가구주 비율 28.5% 29.2% 30.2% 31.3% 31.8% 주 : 일반가구 대상 자료 : 통계청, 인구총조사 성별 1인 가구 : 여성 1인 가구는 5년 전보다 약 20만명 증가 성별 1인 가구(여성, 남성,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550,545명 594,699명 647,934명 707,251명 752,029명 남성 647,041명 696,194명 758,076명 835,849명 882,118명 여성 가구주 비율 46.0% 46.1% 46.1% 45.8% 46.0% 주 : 15세 이상 일반가구 대상 자료 : 통계청, 인구총조사 혼인 및 이혼 : 인구 1천명 당 혼인 건수는 감소 추세, 이혼건수는 2020년 이후 감소 혼인 및 이혼(혼인건수, 이혼건수 조혼인율, 조이혼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혼인건수 66,877건 62,356건 57,814건 54,658건 54,178건 이혼건수 27,884건 28,453건 27,983건 27,256건 24,864건 조혼인율(천 명당 건) 5.2건 4.8건 4.4건 4.0건 조이혼율(천 명당 건) 2.2건 2.2건 2.1건 2.0건 1.8건 주 : 조혼인율/조이혼율 = 1년간 발생한 총 혼인/이혼건수를 당해연도 주민등록 연앙인구로 나눈 수치를 1,000분비로 나타낸 것 자료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보육 보육대상 아동 : 보육 대상 아동 수는 여아, 남아 모두 감소 추세 보육대상 아동(여아, 남아)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여아 330,543명 317,573명 300,216명 279,542명 260,207명 244,805명 남아 347,337명 333,698명 315,492명 293,242명 273,289명 256,582명 주 : 0~5세 아동 자료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일/생활균형 : 육아휴직 남성 이용 비율은 점차 늘고 있으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 남성 사용은 10% 일 생활균형 : 육아휴직의 여성, 남성, 남성비율에 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15,669명 16,386명 17,295명 16,620명 19,585명 남성 3,169명 4,250명 5,425명 5,858명 7,788명 남성비율 16.8% 20.6% 23.9% 26.1% 28.5% 일 생활균형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의 여성, 남성, 남성비율에 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704명 1,124명 2,854명 3,319명 4,026명 남성 124명 171명 353명 333명 456명 남성비율 15.0% 13.2% 11.0% 9.1% 10.2% 주 : 모성보호급여를 처음으로 지급받은 인원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EIS 고용행정통계 어린이집 이용 아동 : 전체 어린이집 이용 아동 중, 국공립 어린이집 이용률은 꾸준히 증가 어린이집 이용 아동(어린이집 이용 아동 수, 국공립 어린이집 이용 아동 수,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어린이집 이용 아동 393,149명 389,004명 358,813명 350,117명 331,516명 311,814명 국공립 어린이집 이용 아동 46,461명 56,136명 63,480명 70,403명 75,054명 80,091명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 11.8% 14.4% 17.7% 20.1% 22.6% 25.7% 자료 : 보건복지부, 보육통계 교육 평균 교육 년수 : 성별 평균 교육 년수는 비슷한 수준이나 여성이 남성보다 다소 짧아 평균 교육 년수(남성, 여성)에 관한 표 구분 2010 2015 2020 여성 10.8년 11.9년 12.4년 남성 11.7년 13.1년 13.3년 주 : 재학생, 미상 제외 자료 : 통계청, 인구총조사 전수(2020), 표본(2015, 2020) 고등교육기관의 여성교원 비율 : 고등교육기관의 여성교원 수는 등락을 반복하고 있으나 그 비율은 증가 추세 고등교육기관의 여성교원 비율(전체, 여성,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전체 15,464명 15,158명 15,002명 15,531명 14,571명 여성 5,734명 5,688명 5,692명 5,984명 5,692명 여성비율 37.1% 37.5% 37.9% 38.5% 39.1% 주 : 각년도 4월 기준 자료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경제활동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참가율의 성별격차는 다소 감소 경제활동참가율(여성, 남성, 성별격차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여성 52.7% 53.2% 51.3% 53.4% 54.9% 56.1% 남성 76.2% 75.5% 74.3% 74.7% 76.7% 75.9% 성별격차비율 23.5%P 22.3%P 23.0%P 21.3%P 21.8%P 19.8%P 자료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성별임금격차 : 성별임금격차는 미미한 수준에서 감소중이나 여전히 34.5% 차이 성별임금격차(여성, 남성, 임금격차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201.0만원 207.8만원 209.0만원 219.0만원 237.1만원 남성 325.9만원 331.2만원 331.3만원 345.0만원 362.0만원 임금격차비율 38.3% 37.3% 36.9% 36.5% 34.5% 자료 :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각 년도별 하반기) 원자료 분석 건강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율 :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해 '좋다'고 느끼는 성별격차 증가 성별임금격차(여성, 남성, 임금격차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20 2022 여성 46.9% 47.0% 49.5% 남성 50.1% 54.9% 57.1% 성별격차 3.2%P 7.9%P 7.6%P 주1 : 13세 이상 인구 주2 : 건강상태에 대한 '매우좋음', '좋은편임'으로 응답한 비율임 자료 : 통계청, 사회조사 원자료 분석 우울증상으로 인한 정신상담률 : 우울증상으로 인한 정신상담률 여성 증가, 남성 다소 감소 성별임금격차(여성, 남성, 임금격차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21.9% 23.1% 22.9% 23.4% 28.1% 남성 19.4% 17.4% 21.8% 23.6% 21.7% 자료 : 질병관리청,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자료 분석 복지 국민연금가입자 : 국민연금가입자 수는 다소 감소, 여성이 남성보다 적게 나타나 국민연금가입자(여성, 남성,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2,306,135명 2,347,375명 2,384,701명 2,464,301명 2,504,314명 남성 3,017,540명 3,030,233명 3,040,599명 3,105,524명 3,151,775명 여성비율 43.3% 43.7% 44.0% 44.2% 44.3% 자료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통계 구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수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아 경제적으로 취약 국민연금가입자(여성, 남성,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154,810명 172,699명 199,548명 222,644명 234,625명 남성 126,695명 139,812명 163,440명 181,977명 190,072명 여성비율 55.0% 55.3% 55.0% 55.0% 55.2% 자료 :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현황 정치 및 사회참여 국회 및 지방의회 : 국회 및 지방의회 여성의원 비율은 상승세 국회의원(여성, 전체,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6 2020 2024 여성 7명 11명 14명 전체 60명 59명 60명 여성비율 11.7% 18.6% 23.3% 도의회 의원(여성, 전체,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4 2018 2022 여성 20명 32명 35명 전체 156명 142명 128명 여성비율 15.6% 22.5% 22.4% 시/군의회 의원(여성, 전체,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4 2018 2022 여성 135명 176명 195명 전체 431명 446명 463명 여성비율 31.3% 39.5% 42.1% 주 :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원을 합한 수치임 자료 : 중안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지방자치단체 : 관리직 5급 이상 자치단체 여성공무원 비율 지속 상승 지방자치단체 5급이상 관리직(여성, 전체, 여성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여성 519명 597명 694명 841명 989명 전체 3,078명 3,223명 3,204명 3,168명 3,048명 여성비율 14.4% 15.6% 17.8% 21.0% 24.5% 주 : 지자체 5급 이상 자료 :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통계 문화 및 정보미디어 인터넷 이용자 중 화상회의 및 원격근무 경험 : 2020년 화상회의 및 원격근무 이용률은 여성이 남성보다 약 4%p 정도 낮아 화상회의 경험자 중(여성, 남성 비율)에 관한 표 전체 20.5% 여성 8.2% 남성 12.3% 원격근무 경험자 중(여성, 남성 비율)에 관한 표 전체 17.5% 여성 6.8% 남성 10.7% 주 : 만 3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원자료 분석 여가생활만족도 : 여성, 남성 모두 2023년 여가 생활 만족도 다소 상승 여가생활이 만족스럽다고 하는 여성, 남성 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9 2021 2023 여성 30.4% 11.6% 17.4% 남성 31.3% 12.0% 18.4% 여가생활이 불만족스럽다는 여성, 남성 비율에 관한 표 구분 2019 2021 2023 여성 19.5% 32.2% 26.1% 남성 17.2% 28.2% 23.5% 안전 및 환경 범죄발생에 대한 안전인식 : 범죄발생에 대한 안전하다고 느끼는 성별 격차 2020년 보다 다소 감소 범죄발생에 대한 안전인식에 관한 표 구분 2018 2020 2022 여성 10.8% 20.5% 20.9% 남성 20.3% 32.3% 30.9% 성별격차 9.5%p 11.8%p 10%p 주 : 범죄발생에 대한 '안전함'이라고 응답한 비율임 자료 : 통계청, 사회조사 젠더폭력 : 디지털성범죄 5년전보다 1900건 이상 증가 젠더폭력 유형별 발생건수에 관한 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총계 2,865건 2,106건 3,017건 3,404건 4,782건 음란물 유포(주1) 816건 336건 398건 221건 154건 카메라등 이용촬영(주2) 1,401건 1,317건 1,384건 1,354건 1,398건 통신매체 이용음란(주2) 370건 325건 534건 1,369건 2,807건 아동청소년 음란물배포(주3) 278건 128건 701건 460건 423건 주1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법률(음란물 유포) 주2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통신매체 이용음란) 주3 :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음란물제작/배포 등) 자료 : 경찰철, 경찰청범죄통계 _
> 경기여성가족통계 > 그림으로보는통계
[뉴스레터 제224호] 재단, 디지털 성범죄-딥페이크 초기 대응 요령 게시 2024-08-30
재단, 디지털 성범죄-딥페이크 초기 대응 요령 게시 우리 재단은 학생들 사이에서 확산되고 있는 딥페이크 불법 영상물 합성 및 유포와 관련, 딥페이크 초기 대응요령을 게시했습니다. 재단소식 경기도 의회 더불어민주당 수석대표단, 재단 방문 8월 26일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최종현 대표의원을 비롯한 대표단 일행이 재단을 방문해 민생현안 정책회의를 개최했습니다. 경북여성정책개발원, 재단 방문 8월 14일 경북여성정책개발원 하금숙 원장 등 방문단 일행이 재단을 방문, 아동돌봄 사업추진 및 운영내용을 청취하였습니다. 서울시 아이돌봄거점기관, 재단 방문 8월 7일 서울시아이돌봄거점기관이 재단을 방문하였습니다. 구읏문화센터 8월 강좌 개최 8월 6일 구읏문화센터 강의가 개최됐습니다. 여름특집을 맞아 이우석 푸드칼럼리스트 겸 여행작가가 미식여행을 주제로 강의했습니다. 구읏AI탐험대 4차 강의 진행 8월 21일 구읏 AI탐험대 4차 강의 및 실습이 진행됐습니다. 2025년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수요조사 재단은 2025년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수요조사를 실시합니다. GWFF 통계인사이트 7호 발행 경기도 성별임금격차 특징과 변화를 주제로 GWFF 통계 인사이트 7호가 발행되었습니다. 사랑의 헌혈 캠페인 전개 재단 임직원들이 8월 16일 사랑의 헌혈증서 캠페인을 전개, 헌혈증서 105매를 한국소아암재단에 기증했습니다. 재단이야기 평온이, 다온이 9월 배경화면 다운로드 모집 (초청)언제나돌보미 모집신청 경기도 360도 아동언제나 긴급돌봄서비스 다함께 돌봄교사 역량강화 신청 시설형 초등돌봄 서비스제공기관 및 제공인력 신청 강사은행 무료파견 '조부모교육' 신청 기관 모집 연구보고서 정책과제 2024-6/2024년 경기도 경력보유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정형옥 선임연구위원 정책과제 2024-6/경기도 은둔형 청소년 지원방안 연구/양정선 선임연구위원 미리보는 9월 국제여성가족교류재단 카메룬 법무부 연수단 재단 방문 : 9월 4일 수요일 페루 사법부 일행, 재단 방문 : 9월 5일 목요일 제7차 경기 GPS 개최 : 9월 6일 금요일 제8차 경기 GPS 개최: 9월 25일 수요일 -->
> 재단 간행물 > 재단 소식지
[뉴스레터 제 207호]여성·가족 가치확산 캠페인 2023-03-29
평등으로 한걸음, 더 따뜻한 경기 NEWSLETTER 2023.03.31 Vol.207 여성·가족 가치확산 캠페인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여성·가족 가치확산 캠페인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여성·가족 가치확산 캠페인을 펼칩니다. 가치확산 캠페인을 통해 도민 여러분과 의미있는 가치를 함께 공감하고, 또 공유해 나가고자 합니다. 가족다양성, 1인가구, 성재생산·건강권, 여성평화 등 4가지 핵심키워드를 선정하여, 영상, 카드뉴스, SNS이벤트 등 다양한 홍보콘텐츠를 통해 캠페인 메시지를 확산해 나갈 예정입니다. 도민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그리고 공감을 부탁드립니다. "세상에 수많은 다양한 가족의 모습 그냥 다 가족이죠!" 경기도민의 가족다양성 인식 이나련 박사와 함께 살펴봅니다 #가족다양성 티저영상 보기 "경기도 1인가구 안녕하신가요?" 경기도 1인가구 정책 기본계획 노경혜 박사, 정혜원 박사와 함께 살펴봅니다 #1인가구 티저영상 보기 #가족다양성 가치 확산 캠페인 따뜻한 경기 여성·가족가치확산 캠페인 경기도의 가족다양성 이야기 유 영상을 보신 후 시청소감을 댓글로 달아주세요 튜브 추첨을 통해 20분에게 편의점 기프티콘을 보내드립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댓글 알고 편의점 기프티콘 받자! 영상시청 이벤트 ▶다양한 유가족 5천원 NO 경기 경기도의 NOX "가족다양성 이야기 경기도민의 가족다양성 인식조사 (이나 정유진, 2022.7.31.) 평온이 다온이와함께 알아보아요! [이벤트] #가족다양성 영상 시청 이벤트 '경기도의 가족다양성 이야기' 영상을 보신 후, #필수해시태그와 함께 시청소감을 댓글로 달아주세요. (필수해시태그: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가치확산캠페인 #가족다양성) √ 이벤트기간: 3.31.(금)까지 (오늘마감) √ 이벤트경품: 편의점 기프티콘(5천원권) (20명) [카드뉴스] 경기도의 #가족다양성 이야기 '가족'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우리 사회에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들이 살아가고 있는데요. 경기도민 2,053명의 생각은 어떠한지 경기도민의 가족다양성 인식 조사연구를 통해 들어보았습니다. 자세히 보기 > 참여자 모집 20234 젠더와 진로특강 \1/ 자세히 보기 >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 2023년 젠더와 진로지도/ 경기도여성가족재단에서 양육자 및 기관 담당자 대상 청소년 진로설계지원에서의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합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 2023년 젠더와 진로특강 참여자 모집 √ 신청기간: 4.28.(금)까지 ※선착순 모집 √ 교육대상: 경기도 내 중·고등학생 √ 교육기간:3~11월 중 √교육비용: 전액무료 √ 문의처: 031-220-3939 (성평등문화확산팀) 자세히 보기 > 2023년 젠더와 진로지도 참여자 모집 √ 신청기간: 4.28.(금)까지 ※선착순 모집 √ 교육대상: 경기도 내 초·중등학교 양육자 및 청소년진로체험기관 등 담당자 √교육기간:3~11월 중 √ 교육비용: 전액무료 √문의처: 031-220-3939 (성평등문화확산팀) 자세히 보기 > 언론 속 재단 경기도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원스톱 지원센터 ●피해접수 및 상담 •삭제 및 모니터링 ●수사지원 안심지지 동반 법률지원(상담 및 구조) 피해자 지원 심리지원 심리치유 지원 ●전문심리상담연계 의료 및 기타 연계 법률지원단 운영 2023.8 세계여성의 날 기념 일상을 바꾸는 노력, 경기도 여성폭력 실태 및 향후과제 202314 382:24 1000-130 PRIVA 예방체계 구축 ・인식개선 및 문화 확산 콘텐츠개발 •경기도 도인 대응감시단 운영 디지털성범죄예방교육 전문강사 보수교육 •디지털성범죄 대응 역량강화교육 제도개혁 네트워크 구축 운영 라운드테이블 • 전문가 자문 및 회의 운영 ●피해자 원스톱 지원 보고서 발간 [경기일보] "여성폭력 피해자 적극적 대응할 정책 필요" ... 세계 여성의 날 기념 토론회 개최 자세히 보기 > 경기WiFi [KBS] 경기도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원스톱 지원센터, 지난해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421명 영상 삭제 등 지원 자세히 보기 > [경기WiFi 327호] 여성폭력, 경기도 실태와 과제는? 3.8 세계여성의 날 1 여성폭력, 경기도 실태와 과제는? 3.8 세계여성의 날 2 노동시장 매년 3월에 맞는 3.8 세계여성의 날은 여성들의 노동권과 참정권, 즉 생존과 삶에 대한 기본적 요구에서 시작되었습니다. 115년이 지난 오늘, 한국사회 여성들의 삶과 생존에서 중요한 이슈는 구조적 성차별에 따른 '젠더폭력'과 '노동시장의 불평등'이 아닐까요. 이번 WiFi에서는 세계여성의 날 주간을 보내며 두 가지 주제를 함께 살펴봅니다. 원문보기 > 포스팅 보기 > [경기WiFi 328호] 노동시장 성별격차와 성평등한 경기도 올해 115주년을 맞은 3.8 세계여성의 날, 한국여성단체연합이 주관한 한국여성대회에서는 장시간 노동 근절, 성별임금격차 해소, 안전한 일터 보장'이 노동분야 이슈로 제기됐습니다. WiFi에서는 3.8 세계여성의날 주간을 보내며 구조적 성차별의 주요 이슈인 젠더폭력에 이어서 노동분야의 성별격차, 그리고 이와 관련한 최근의 정책 동향을 함께 살펴봅니다. 성별격차와 성평등한 경기도 원문보기 > 포스팅 보기 > 성평등 정책과 남성참여 [경기WiFi 329호] 성평등 정책과 남성참여 성인지적 관점에서 남성들의 경험에 주목하면서, 남성들의 성별화된 삶을 성찰하고 개선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책기반이 마련되기를 기대해봅니다. 이번주 WiFi에서는 독일의 사례를 통해 성평등 정책과 남성참여에 대해 살펴봅니다. 원문보기 > 포스팅 보기 > [경기WiFi 330회 젠더이슈로 다시 보는 ESG 젠더이슈로 다시보는 ESG ESG 요소 중 '노동, 인권, 다양성, 동반성장' 등을 포함하는 사회 부문, '의사결정구조의 권리와 의무'를 포괄하는 지배구조는 젠더 이슈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성별 다양성이나 성평등 수준이 지속가능한 성과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젠더관점 투자'가 ESG에서 중요해지면서 조직의 성평등 수준을 높일 거라는 기대도 있었는데요. 이번주 WiFi에서는 젠더이슈를 중심으로 ESG 최근 동향과 과제를 진단해봅니다. 원문보기 > 포스팅 보기 > 본 메일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보내드리는 발신전용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16207)경기도 수원시 경수대로 1150(파장동 179) 신관 2층 | 대표전화 : 031-220-3900
> 재단 간행물 > 재단 소식지
[뉴스레터 제 169호]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임직원 농촌일손돕기 2022-01-11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사회적 가치를 구매하는 공공구매를 응원합니다!'공공구매 활성화 응원 챌린지'는 사회적경제기업 우선구매 활성화 및 인식 확대를 위해 진행되는 챌린지인데요.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지난 6월 '사회적경제 공공구매 활성화 선언식'에서 공공의 이익, 공동체의 발전, 사람의 가치를 지향하는 윤리적 소비 확산에 기여했음을 인정받아 감사패를 수여받기도 했습니다.제윤경 경기도일자리재단 대표이사의 지목을 받아 이번 챌린지에도 동참합니다.자세히 보기 「경기아이사랑부모학교」 동아리 리더 양성 2기 교육 참여자 모집 지역 내 자발적 부모학습 동아리 확산을 지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부모교육 동아리 리더 양성 2기 교육을 실시합니다.○ 모집기간 : 8. 13.(금) 18:00까지○ 모집인원 : 24명○ 모집대상 : 부모동아리(5인 이상)를 운영하고 있거나, 계획 중인 경기도민○ 최종발표 : 8. 27.(금) 개별통보※ 상기 일정은 재단 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경기도 여성가족 정책발굴 포럼」 종합발표회 영상 공개 ① 성ㆍ재생산 건강권 존중 – 나영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SHARE)' 대표② 가족다양성 보장 – 송효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③ 성별임금격차 해소 – 이현선 안산여성노동자회 회장④ 일하는 청년여성 성평등 환경 구축 – 김영미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⑤ 공적 아동돌봄체계 강화 – 장수정 단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⑥ 위기 아동청소년 안전망 강화 – 최순종 경기대학교 청소년학과 교수 자세히 보기 경기도교육청과 도내 학생·교직원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경기도여성가족재단과 경기도교육청은 ▲도내 학생·교직원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상담 및 대응 지원, ▲ 디지털성범죄 예방과 관련된 교육자료 및 인력 지원, ▲ 경기도디지털성범죄피해자원스톱지원센터 안내 및 홍보 협조, ▲ 도교육청 디지털성범죄 근절을 위한 자문 지원, ▲ 각종 학술·연구 자료 교류, 기타 필요한 정보 및 자원 교류 등을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이번 협약을 통해 도내 학생과 교직원 대상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경기WiFi 260호] 리빙랩, 지역사회 혁신과 여성 '일상생활의 실험실'을 뜻하는 리빙랩은 과학기술을 이용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공공과 민간, 그리고 시민이 협력해 문제를 풀어나가는 사회혁신 방법론을 말합니다. 즉, 사용자인 시민이 실험활동 주체가 되어 전문가들과 대안을 탐색하는 것인데요, 특히 최근에는 돌봄‧복지 영역 외에도 과학기술, 지역혁신 등 사회혁신 분야에서 여성참여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도 리빙랩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WiFi에서는 리빙랩 이슈를 다룬 경기도여성가족재단 보고서(「리빙랩을 통한 지역사회 혁신과 여성」(최윤선·신하영, 2020.12))를 중심으로 리빙랩의 특징과 사례, 향후 여성참여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살펴봅니다. 자세히 보기 [경기WiFi 261호] 경기WiFi 2021년 상반기 이슈는? 여러분의 이목을 끌었던 경기WiFi 상반기 이슈에는 어떤 내용이 있었나요? 이번 경기WiFi에서는 상반기 동안 경기WiFi에서 다루었던 내용을 살펴봅니다. ① 2021년 달라지는 여성·가족정책, ② 아동학대 현안, ③ 변화하는 가족, ④ 성차별과 여성폭력, ⑤ 성평등 기반, ⑥ 가족다양성, 아동, ⑦ 환경, 소수자, 청년 위와 같이 7개 분야로 구분한 24개의 상반기 이슈를 한눈에 둘러보고, 상반기 경기WiFi에 대한 소중한 의견도 남겨주세요. 자세히 보기 경기도 어린이집 농어촌 특례 인정 가이드라인 연구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농어촌 특례 인정 기준과 경기도 내 승인 현황을 살펴보고, 실제 특례인정 어린이집의 반별 보육 현황과 특례인정 조건 준수 여부 등 운영실태를 파악한 후, 관계 공무원과 보육현장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경기도 어린이집의 농어촌 특례 인정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자 하였습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김미정 연구위원의 「경기도 어린이집 농어촌 특례 인정 가이드라인 연구」를 함께 만나보시겠습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인스타그램] 가족친화 우수기업♡경기도여성가족재단의 '쌈무데이'란?! 가족친화 인증기업인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매주 수요일마다 '쌈무데이'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쌈무데이(3無데이)'란 아래와 같이 3가지를 하지 않는다(3無)는 것을 의미합니다. [회의 無] 오후 4시 이후 회의 지양 [부서장 無] 정시퇴근 분위기 조성을 위한 부서장 정시퇴근 의무화 [나 無] “나”부터 초과근무 금지(정시퇴근) 재단은 앞으로도 일·생활균형 문화 확립을 위한 가족친화적 직장의 표본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청렴&반부패]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청렴이끔이' 위촉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의 청렴리더인 '청렴이끔이'가 위촉되었습니다. '청렴이끔이'는 소속 부서의 청렴리더로서 재단 청렴 정책 공유 및 확산 활동에 기여하는 막중한 임무를 부여받았습니다. 7월 1일(목) 위촉식을 시작으로, 매 분기별 회의를 통해 청렴실천과제 이행을 위한 활동을 하게 되는데요. 내부 인트라넷 '청렴담' 게시판에서 청렴, 반부패 관련 도서 및 영화, 경영진의 청렴 가치 등도 전달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자세히 보기 본 메일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보내드리는 발신전용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16207)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 (파장동 179) 신관 2층 | 대표전화 : 031) 220-3900 Copyrightⓒ gwff. All rights reserved.
> 재단 간행물 > 재단 소식지
[뉴스레터 제 163호]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직원 통합채용 외 다양한 소식을 만나보세요! 2022-01-03
경기도 기지촌여성 인권침해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토론회 국가의 묵인 아래 인권침해를 경험했던 기지촌 피해여성들의 생활안정과 명예회복 등을 위해 '경기도 기지촌여성 인권침해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토론회' 를 개최하오니 많은 관심과 시청바랍니다. 4월 27일(화) 재단 SNS를 통해 토론회 녹화영상을 공개할 예정입니다. 자세히 보기 경기도 디지털 성범죄 도민 대응감시단 발대식 '경기도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원스톱지원센터'에서 도민이 참여하는 '2021년 경기도 디지털 성범죄 도민 대응감시단' 발대식을 개최하였습니다. 위촉된 30명의 '디지털 성범죄 도민 대응감시단'은 디지털 성범죄 예방과 근절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경기도 성평등 의제발굴 2차 포럼(노동·일자리) 여성가족분야 정책의제 발굴을 위한 포럼으로, 2차 포럼은 '스타트업 청년여성의 생존과 연대'를 주제로 '스여일삶' 김지영 대표, '빌라선샤인' 홍진아 대표, 경기도일자리재단 조은주 청년일자리본부장,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최윤선 선임연구위원의 발제가 진행되었습니다. 자세히 보기 경기아이사랑부모학교 동아리리더 양성교육 참여자 모집(~5월 7일 18시까지) 지역 내 자발적 부모학습 동아리 확산을 지원하기 위해 부모교육 동아리 리더 양성교육을 실시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모집기간: ~5월 7일(금) 18시까지 – 모집인원: 기수별 20명(2기, 40명) 자세히 보기 [경기WiFi 247호] 기지촌 여성들, 인권회복과 치유의 역사로 앞서 경기WiFi 246호에서 기지촌의 형성과 국가가 '위안부'로 관리한 성매매 여성들, 그들에 대한 폭력적 인권침해의 문제를 살펴봤습니다. 이번 경기WiFi에서는 기지촌 '위안부' 공론화와 문제 해결을 위한 법적·제도적 노력과 성과, 그리고 평화·인권·성평등 관점에서 이뤄져야 할 후속과제들을 함께 살펴봅니다. 자세히 보기 [경기WiFi 248호] 삶의 질을 높이는 성평등 – 성별영향평가로 바뀌는 경기도 정책들 「성별영향평가법」에 따라 수행하는 성별영향평가는 환경·고용·문화·교육·복지·안전 등 우리 삶과 밀접한 모든 정책을 대상으로 합니다. 경기도는 31개 시군의 정책개선 사례를 발굴ㆍ확산하기 위한 '성별영향평가 우수사례 발표대회'를 2018년부터 매년 개최하고 있는데요. 이번 WiFi에서는 지난 3년간 좋은 개선정책으로 뽑힌 몇 가지 정책사례들을 함께 나눠봅니다. 자세히 보기 [경기WiFi 249호] 일상을 파고드는 온라인 그루밍 – 아동ㆍ청소년 성보호법 개정과 지역과제는 지난 3월 23일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법률이 공포됐습니다. 지난 해 4월 텔레그렘 n번방 사건을 계기로 정부가 마련한 '디지털 성범죄 근절대책' 조치의 일환인데요.'온라인 그루밍' 처벌과 위장수사를 핵심으로 하는 이번 개정법은 앞으로 하위법령 개정 등 6개월 정도 준비기간을 거친 뒤인 9월 24일부터 시행됩니다.이번 WiFi에서는 일상을 파고드는 온라인 그루밍, 그리고 아동·청소년 성보호법 개정과 지역과제에 대해 알아봅니다. 자세히 보기 경기도 아동학대 대응, 그 가능성을 찾아서: 안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경기도는 전국 17개 지역 중 가장 많은 아동인구가 거주하고, 또 가장 많은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경기도의 아동학대 대응은 14개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전담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안산시 아동보호전문기관은 안산시 1개 시만 관할하고 있고, 2020년도 10월부터 시행된 아동학대전담공무원 제도 역시 전국에서 가장 많은 8명이 배치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안산시 사례를 비추어 아동학대 대응을 위한 가능성을 찾아보려고 합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전민경 연구위원의 「경기도 아동학대 대응, 그 가능성을 찾아서: 안산시 사례를 중심으로」를 함께 만나보시겠습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경기도 성별임금격차 현황과 시사점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에서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큰 나라로 2019년 기준 32.5%로 나타납니다. 경기도의 경우 2019년 기준 성별임금격차 지표의 순위가 16개 시·도 중 10위로 낮은 편입니다. 성평등임금공시제가 중요한 이유는 성별임금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첫 단계이기 때문입니다. 임금공시를 통해 성별임금격차 실태를 파악하고, 원인을 분석해야 향후 개선방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한 법제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정형옥 선임연구위원, 황나리 연구원의 「경기도 성별임금격차 현황과 시사점」을 함께 만나보시겠습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페이스북] 성차별 언어 개선 공모 홍보이벤트(내일 종료) 경기도에서는 일상 속 고정관념에서 발생하는 성차별 인식을 개선하고 도 전반의 양성평등 문화를 확산하기 위하여 성평등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6일(금)까지 경기도여성가족재단 페이스북을 통해 성차별 언어 개선 공모 홍보이벤트를 진행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참여기간: ~4월 16일(금)까지 – 당첨경품: 모바일 커피 쿠폰 (총 50명) 자세히 보기 [인스타그램] '평온이'와 '다온이'가 소개하는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의 브랜드 이미지는 [평등]이 메인 키워드입니다. 로고는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 '여', '가', '재'의 초성을 활용하여 저울과 여성의 모습을 나타냈는데요. 각각의 색상들은 '소통과 존중', '성장과 혁신', '함께하는 삶', '성평등'을 의미합니다. 자세히 보기 [청렴&반부패 도서 소개] 반부패의 세계사 경기도여성가족재단에서는 직원들의 청렴&반부패를 위해 직원들 스스로 청렴 도서를 읽고 다른 직원에게 추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청렴 도서 <반부패의 세계사>를 여러분께 소개해 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본 메일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보내드리는 발신전용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16207)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 (파장동 179) 신관 2층 | 대표전화 : 031) 220-3900 Copyrightⓒ gwff. All rights reserved.
> 재단 간행물 > 재단 소식지
[2021 경기도 여성가족 정책발굴 포럼] 종합발표회 자료집 2021-06-30
「경기도 여성가족 정책발굴 포럼」종합발표회 • 일시 : 2021.6.24.(목), 14:30~16:00 • 장소 : 경기도청 제1회의실 • 내용 ① 성·재생산 건강권 존중 ② 가족다양성 보장 ③ 성별임금격차 해소 ④ 일하는 청년여성 성평등 환경 구축 ⑤ 공적 아동돌봄체계 강화 ⑥ 위기 아동청소년 안전망 강화 • 토론회 영상 시청하기 : https://youtu.be/2QwmWVcxKpE
> 학술행사자료
도 여성가족재단, “남녀 성별임금 실태 파악하기 위해 '성평등임금공시제' 필요” 2021-03-17
○ 보도일시: 2021.3.9.(화) ○ 「경기도 성별임금격차 현황과 시사점」 이슈분석 발간 - 월 평균 임금 기준 도 성별 임금격차는 35.9%, 시간당 임금으로는 29.4%로 나타나 - 산업별, 직종별, 인적특성별, 고용형태별로 성별 임금격차가 존재하고 있어 실태 확인,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성평등임금공시제' 필요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경기도 성별임금격차 현황과 시사점」을 주제로 이슈분석을 발간했다. 성별임금격차는 남성임금을 100으로 볼 때 여성임금이 차지하는 비율과의 격차를 의미한다. 해당 국가의 성평등 수준을 파악하는 국내외 지표로 활용되며 지역성평등지수에도 지표로 포함된다. 2019년 기준 OECD 회원 국가 중 우리나라의 성별임금격차는 32.5%로 조사된 바 있다. 지난해 상반기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국 임금노동자의 월 평균 임금은 남성 325만7천원, 여성 207만8천원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경우 남성 335만5천원, 여성 215만원으로 남녀 모두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월 평균 임금 기준 성별 임금격차는 도 35.9%로 전국평균 36.2%에 비해 낮았다. 시간당 임금을 기준으로 하면 남성 2만1,028원, 여성 1만4,838원으로 성별 임금격차가 전국 평균 28.2%보다 높은 29.4%로 나타났다. 월 평균 임금 기준으로 도 성별임금격차를 학력별로 살펴보면, 전문대졸 이상(34.5%), 중졸이하(33.3%), 고졸(31.6%) 순으로 학력에 비해 격차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 지위별로 보면 월 평균 임금 기준 상용노동자의 성별임금격차가 33.2%로 임시·일용노동자의 29.3%보다 컸다. 이처럼 분석결과 인적 특성별, 고용 형태별, 산업별, 직종별로 차이는 있지만 성별 임금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책임자인 정형옥 선임연구위원은 “성별임금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성평등임금공시제'가 필요하다”면서 “임금공시를 통해 성별임금격차 실태를 파악하고 원인 분석 후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언론보도 >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