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에 대한 통합 검색 결과 총 2866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중부일보 2020.04.27] 부천여성청소년재단, 플라워 버킷 챌린지 다음주자로 경기도 여가원 지정 2020-04-28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416457
> 언론보도 > 언론 속 재단
경기도민의 가족가치 변화 추이 2020-04-24
○ 발간물 정보 제목: 경기도민의 가족가치 변화 추이 발간물 번호: 제159호(20-04) 연구자: 노경혜 발간일: 2020년 4월 14일 ○ 연구요약 전국적으로 2세대 이상 가구의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1인가구 및 1세대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경기도는 2세대 이상 가구의 비율이 전국 대비 높은 편이나 역시 감소 추세에 있음 경기도민의 가족가치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음. 결혼에 대한 긍정성은 감소하고 돌봄이 가족만의 일이라는 인식 또한 감소하였으며, 여성의 가족 내 역할에 대한 생각도 변화 중임 경기도의 가족정책은 가족가치 및 가족구성의 변화를 반영하여 다양한 가족과 그 구성원의 특성과 요구를 포괄할 수 있는 다각적이고 복합적인 정책으로 변화하여야 함 ○ 연구목차 경기도의 가구구성 변화 경기도민의 가족가치 변화 정책적 시사점과 향후 방향
> 연구보고서 > 이슈분석
전국여성정책네트워크 공동성명 2020-04-23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등 전국 여성정책 기관, "디지털 성범죄 입법 촉구" 공동성명 - 회장기관(전북여성정책연구원) 발의 '배포일: '20.4.22.(수)
> 언론보도 > 보도자료
[중부일보 2020.04.22]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체계적인 디지털 성범죄 대응책 필요해" 2020-04-23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415493
> 언론보도 > 언론 속 재단
[인천일보 2020.04.22] 경기도 외국인정책 자문단 농촌지역 이주여성 관심과 지원 시급 2020-04-23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5409
> 언론보도 > 언론 속 재단
경기도민의 사회계층별 차별인식과 과제 2020-04-23
○ 발간물 정보 제목: 경기도민의 사회계층별 차별인식과 과제 발간물 번호: 제158호(20-03) 연구자: 김영혜 발간일: 2020년 4월 6일 ○ 연구요약 주관적 계층의식이란 개인이 사회계층의 위계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자리매김하여 특정 계층 지위에 일체감을 귀속시키는 것으로, 주관적 계층의식이 객관적 계층과 일치할 수도 있으나 객관적 생활여건이 특정 계층이어도 주관적인 인식이 그렇지 않을 수 있음 2019년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조사 자료를 분석하면, 경기도민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20.5%는 하위층, 75.2%는 중간층, 4.3%는 상위층이라 응답하여 도민 4명 중 3명은 자신을 중간층이라 생각하고 있음. 전반적인 주관적 계층의식은 전국과 비교해 높게 나타남 계층의식이 하위층인 경우 차별금지법 제정과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전환, 상위층은 장애인의 무고용제도, 공무원양성평등채용목표제, 난민수용문제에 대한 찬성도가 높게 나타나는 등 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비교적 선명함. 반면에 중간층의 정책 찬성도는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음 차별해소정책을 비롯한 각종 사회정책 정보에서 소외될 우려가 있는 계층을 대상으로 정책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가 요구되며, 다양한 계층별로 활발한 사회적 현안에 대한 논의에 참여할 수 있는 장의 마련이 필요함 ○ 연구목차 들어가며 경기도민의 주관적 계층의식 경기도민의 사회계층별 차별경험과 정책인식 시사점과 과제
> 연구보고서 > 이슈분석
[정책과제] 경기도 공공형 아동학대 대응모델 개발 2020-04-21
○ 발간물 정보 제목: 경기도 공공형 아동학대 대응모델 개발 연구 발간물 번호: 2020-01 발간일: 2020년 2월 28일 ○ 연구자 정보 연구책임: 전민경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 공동연구: 손선옥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선임연구위원) 연구지원: 임예슬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위촉연구원) ○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9년 5월 포용국가 아동정책 발표에 따라 아동학대 조사업무와 사례관리 업무가 분리되는 추후의 상황에 대한 대응으로, 경기도 31개 시-군별 대응모델을 살피는 것에 목적이 있음 이를 위해 관련 통계를 살피고, 공공화 업무를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정책을 살펴보았으며, 현재 31개 시-군별 유관기관 간 아동학대 관련 협력연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현황을 파악함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기도 시-군별 아동학대 대응모델을 제안함. 그 내용으로는 시-군별 아동학대 조사 및 사례관리 인력 추정, 아동학대대응업무를 위한 기관의 규모 추정, 현재 시-군별 아동학대 관련 유관기관 간 연계협력 결과에 따른 지원기관 선정, 경기도 거점아동학대 대응센터(가칭) 설치 등이 포함되어 있음 ○ 주요 연구내용 경기도 31개 시-군별 9종의 유관기관 종사자 600명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대응에 관한 지역사회 내 연계협력문항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경기도 내 31개 기초자치단체별로 아동학대 관련 기관의 사회연결망 현황을 파악 중앙부처의 정책방향성, 선행연구, 설문조사 결과 및 사회연결망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31개 시-군별 대응모델 제시 ○ 연구목차 서론 관련 정책 현황 및 선행연구 고찰 경기도 아동학대 대응 관련 지역사회 유관기관 대상 설문조사 경기도 아동학대 대응 관련 지역사회 유관기관 연결망 분석 정책제언 참고문헌 및 부록
> 연구보고서 > 정책연구
[인천일보 2020.04.20] 가족여성연구원, 부모교육전문강사 참여자 모집 2020-04-21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4862
> 언론보도 > 언론 속 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