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과제 2025-07-31
원문다운로드 자료 활용 안내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의 소중한 연구보고서의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무단으로 연구보고서를 사용할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가. 연구내용
나. 연구방법
3. 선행연구 검토
가. 결혼이주여성 취업정책의 효과와 고용가능성
나. 결혼이주여성 취업자의 내부 다양성
다. 결혼이주여성 경제활동과 취업 실태
제2장 결혼이주여성 취업지원 정책 분석
1. 중앙정부
2. 지방자치단체
3. 소결
제3장 경기도 결혼이주여성 경제활동 현황
1. 경제활동 현황
가. 개인특성별 취업 상태
나. 가족특성별 취업 상태
다. 이주특성별 취업 상태
라. 비경활사유
2. 취업여성의 주요 특성
가. 직종과 종사상지위
나. 근로시간과 수입
다. 일에 대한 만족도
3. 취업정책 수요
가. 구직 경로
나. 취업정책 수요
4. 소결
제4장 경기도 결혼이주여성 경제활동 경험과 특성
1. 조사 개요
가. 면접 대상과 방법
나. 면접 내용
다. 면접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2. 조사 결과
가. 결혼이주여성의 취업 동기 및 일의 의미
나. 결혼이주여성의 취업 경험 및 직업 특성
다. 결혼이주여성의 경제활동을 구성하는 다층적 조건과 경험
라. 일・가정 양립 과정에서의 가족 내 역할 갈등과 관계적 긴장
3. 소결
제5장 정책제언
1. 요약 및 시사점
가. 취업 지원 정책의 낮은 효과성과 고용의 질 하락
나. 결혼이주여성 취업 지원 정책의 성과와 한계
다. 경기도 결혼이주여성 경제활동 현황과 특성
라. 결혼이주여성 경제활동 조건과 경험
마. 결혼이주여성 경제활동의 다층적 요인 : 가족, 개인, 지역, 제도
2. 정책제언
가. 개인 측면
나. 가족 측면
다. 지역 측면
라. 제도 측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