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으로 한 걸음 더 따뜻한 경기, 경기도여성가족재단
모두보기닫기

현안과제 2025-07-31

경기도 결혼이주여성 경제활동 특성과 정책 지원 방안

  • 연구책임 : 김영혜
    공동연구 : 조명희
    연구지원 : 백소운
  • 발간일자 : 2025-07-31
  • 조회수 : 291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가. 연구내용 
나. 연구방법 
3. 선행연구 검토 
가. 결혼이주여성 취업정책의 효과와 고용가능성 
나. 결혼이주여성 취업자의 내부 다양성 
다. 결혼이주여성 경제활동과 취업 실태 
제2장 결혼이주여성 취업지원 정책 분석
1. 중앙정부 
2. 지방자치단체 
3. 소결 
제3장 경기도 결혼이주여성 경제활동 현황
1. 경제활동 현황 
가. 개인특성별 취업 상태 
나. 가족특성별 취업 상태 
다. 이주특성별 취업 상태 
라. 비경활사유 
2. 취업여성의 주요 특성 
가. 직종과 종사상지위 
나. 근로시간과 수입 
다. 일에 대한 만족도 
3. 취업정책 수요 
가. 구직 경로 
나. 취업정책 수요 
4. 소결 
제4장 경기도 결혼이주여성 경제활동 경험과 특성
1. 조사 개요 
가. 면접 대상과 방법 
나. 면접 내용 
다. 면접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2. 조사 결과 
가. 결혼이주여성의 취업 동기 및 일의 의미 
나. 결혼이주여성의 취업 경험 및 직업 특성 
다. 결혼이주여성의 경제활동을 구성하는 다층적 조건과 경험 
라. 일・가정 양립 과정에서의 가족 내 역할 갈등과 관계적 긴장 
3. 소결 

제5장 정책제언
1. 요약 및 시사점 
가. 취업 지원 정책의 낮은 효과성과 고용의 질 하락 
나. 결혼이주여성 취업 지원 정책의 성과와 한계 
다. 경기도 결혼이주여성 경제활동 현황과 특성 
라. 결혼이주여성 경제활동 조건과 경험 
마. 결혼이주여성 경제활동의 다층적 요인 : 가족, 개인, 지역, 제도 
2. 정책제언 
가. 개인 측면 
나. 가족 측면 
다. 지역 측면 
라. 제도 측면 

목록

모두보기닫기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