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보기닫기

'돌봄' 에 대한 통합 검색 결과 총 13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컨텐츠 검색 결과 (13건)

    • 주요업무 > 수탁운영 > 경기도아동언제나돌봄광역센터

      '경기도아동언제나돌봄광역센터'는 '함께 키우고, 서로 돌보는 경기도' 구현을 위해, 시·군의 돌봄 기관과 협력하여 공적 돌봄 서비스를 강화하고, 지역 맞춤형 '돌봄 공백 없는 360° 아동돌봄체계'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업목적 삶의 질 향상 : 경기도형 '틈새 없는 공공 아동 돌봄 서비스' 제공을 통한 도민 삶의 질 향상 돌봄 생태계 조성 : 안전하고 촘촘한 민·관 거버넌스 운영을 통한 지역 기반 돌봄 생태계 조성 지역 돌봄 활성화 : 아동 돌봄 서비스 품질 향상 및 지역 돌봄 활성화 지원 미션과 비전, 전략목표와 과제 --> 비전 : 아동과 가족이 행복한 경기도 실현 미션 : 경기도형 아동돌봄 서비스 강화 및 지역기반 돌봄 활성화 핵심가치 : 인권존중, 소통협력, 돌봄의 사회화 전략목표 :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운영, 서비스 시스템 구축·관리, 서비스 질 향상, 서비스 성과관리·확산 전략과제(안)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운영 1.광역협의체 구축·운영 2.표준 업무매뉴얼 운영·관리 3.서비스 제공인력 관리 서비스 시스템 구축·관리 1.콜센터 구축·운영관리 2.플랫폼 고도화 구축·운영관리 서비스 질 향상 1.전문가 회의 2.역량강화 교육 3.맞춤형 운영 컨설팅 서비스 성과관리·확산 1.조사·연구 2.운영실적 및 성과분석 3.홍보 운영 주요사업 서비스 전달 체계 구축·운영 공공/민간/광역 협의체 구축 및 회의운영 표준 업무 매뉴얼 리뉴얼 및 업무지침 안내 서비스 제공인력 운영 관리지원 서비스 시스템 구축·관리 언제나돌봄 콜센터 구축·운영 (010-9979-7722) 언제나돌봄 플랫폼 구축·운영 (www.gg.go.kr/always360) 바로가기 서비스 질 향상 분야별 전문가 자문회의 사업수행 주체별 역량강화 교육 신규센터 사업운영 기반 구축 안내 및 운영 연차별 컨설팅 서비스 성과 관리·확산 컨설팅지표 수정 및 성과지표 연구 개발 이용자 및 종사자 만족도 조사 · 분석 경기도아동돌봄센터 지역별 운영실적 및 성과 분석 사업 인지도 제고 및 도민 접근성 강화 홍보 운영 경기도아동언제나돌봄광역센터 사업교육 자료 바로가기

      > 수탁운영 > 경기도아동언제나돌봄광역센터

    • Center for Come-To-Home Always Care 경기도아이돌봄광역지원센터

      > Consigned Agencies > Gyeonggi Center for I Dolbom

    • Center for Ah-Dong Dolbom 경기도아동돌봄광역지원센터

      The Gyeonggi Center for Ah-Dong Dolbom serves as the control tower for Gyeonggi-do's childcare by strengthening public care services to realize the mission statement "Gyeonggi-do: Raise Together and Take care of One Another" To this end, it standardises the tasks performed by local hubs, improves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and establishes/revitalizes locally-tailored childcare systems to improve the profitability and impact of local hubs. Standardizing tasks performed by local hubs Provides guidelines and hosts discussions on local hub projects (e.g. definition, functions, roles, implementation system, direction of programs) conducted by the Gyeonggi Childcare Center, a childcare service launched in 2023,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effectiveness of childcare centers as well as help employees better understand all task areas. Main activities Creation/operation of metropolitan councils Development of operational manual Development of consultation indices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in Gyeonggi-do by bringing attention to issues experienced by childcare facilities in regions where the 14 Gyeonggi Childcare Centers are located, establishing cooperative local systems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personnel/material resources, and designing/implementing joint projects for the proliferation of a healthy childrearing culture. Main activities Operational consultation, outcome analysis Capability-building and burnout prevention programs for employees Links with related activities or educational programs Support for revitalized operation of local hub projects/programs Expanding impact and improving profitability of local hub projects Works to expand local hub projects through active internal/external PR for Gyeonggi-do's programs and their outcomes. Main activities Creation/distribution of PR leaflets Creation/distribution of newsletter Issuing of booklet on outstanding cases Publication of press releases on project outcomes

      > Consigned Agencies > Gyeonggi Center for Ah-Dong Dolbom

    • 주요업무-수탁운영-아이돌봄센터

      "『경기도 아이돌봄광역지원센터는 경기도 내 32개 시·군 아이돌봄서비스 총괄지원 기관으로서, 모니터링과 컨설팅을 통해 대상별 체감형 맞춤 돌봄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미션 경기도 아이돌봄서비스 행복 플랫폼 비전 함께 성장하는 돌봄 친화 환경 조성 사업대상 경기도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자, 아이돌보미, 서비스제공기관, 교육기관 등 전략목표 서비스 제공기관 체감형 운영지원 아이돌봄 서비스 전문성 향상 아이돌봄 서비스 접근성 강화 사업내용 서비스체공기관 운영지원 및 기능 강화 아이돌보미 수급관리·조정 아이돌봄서비스 모니터링 및 컨설팅 32개 시군 서비스 제공기관 및 교육기관 운명지원 통합 홍보사업 노무업무대음 종사자 및 아이돌보미 심리정서지원 조직도 센터장 기획운명팀 사업관리팀 사업전략팀 경기도 아이돌봄서비스 제공기관 찾기 경기도 아이돌보미 교육기관 및 채용 공고 경기도아이돌봄광역지원센터 사업교육자료

      > 수탁운영 > 경기도아이돌봄광역지원센터

    • 여성가족자료실 >경기여성가족통계실 >주제별 통계

      2021 경기도 시군별 성인지 통계 2020 경기도 성인지 통계 2022 경기도 성인지 통계 인구 가구 및 가족 아동 돌봄 교육 경제 활동 건강 복지 정치 및 사회참여 문화 및 정보미디어 안전 및 환경 인구 총인구 인구구성 출생 및 사망 인구이동 총인구 [미리보기] 인구추이 인구추이 [미리보기] 장래인구추계 장래인구추계 인구구성 [미리보기] 연령별인구 연령별인구 [미리보기] 혼인상태별 인구 혼인상태별 인구 [미리보기] 외국인 및 다문화 인구 외국인 및 다문화 인구 [미리보기] 북한이탈주민 북한이탈주민 출생 및 사망 [미리보기] 출생 출생 [미리보기] 사망 사망 [미리보기] 인구증가 인구증가 인구이동 [미리보기] 국내인구이동 국내인구이동 가구 및 가족 가구구성 가족형성 가족생활 가족관 가구구성 [미리보기] 가구형태 가구형태 가족형성 [미리보기] 혼인 혼인 [미리보기] 국제결혼 국제결혼 [미리보기] 이혼 이혼 가족생활 [미리보기] 소득 소득 [미리보기] 주택점유형태 주택점유형태 [미리보기] 가족관계 가족관계 [미리보기] 가사노동 가사노동 가족관 [미리보기] 가족가치관 가족가치관 [미리보기] 혼인관 혼인관 [미리보기] 자녀관 자녀관 [미리보기] 부모관 부모관 [미리보기] 저출산 저출산 아동돌봄 돌봄아동 돌봄시설 돌봄지원 돌봄아동 [미리보기] 돌봄아동 현황 돌봄아동 현황 돌봄시설 [미리보기] 보육시설 현황 보육시설 현황 [미리보기] 방과후돌봄 현황 방과후돌봄 현황 돌봄지원 [미리보기] 보육정보 보육정보 [미리보기] 보육료지원 보육료지원 [미리보기] 보육만족 보육만족 교육 교육기회 학교교육 교육여건 교육효과 교육기회 [미리보기] 교육수준 및 교육기대 교육수준 및 교육기대 [미리보기] 학교교육 기회 학교교육 기회 [미리보기] 평생교육 평생교육 [미리보기] 다문화 가족자녀 교육 및 외국어 교육 기회 다문화 가족자녀 교육 및 외국어 교육 기회 학교교육 [미리보기] 초·중·고등학교 초·중·고등학교 [미리보기] 대학교 대학교 교육여건 [미리보기] 교육인력 교육인력 [미리보기] 자녀교육여건 자녀교육여건 교육효과 [미리보기] 교육성과 교육성과 경제활동 경제활동참여 사업체 근로여건 취업태도 경제활동참여 [미리보기] 경제활동규모 경제활동규모 [미리보기] 취업자 취업자 [미리보기] 임금근로자 임금근로자 [미리보기] 경력단절여성 경력단절여성 [미리보기] 실업자 실업자 [미리보기] 비경제활동인구 비경제활동인구 [미리보기] 농가인구 농가인구 [미리보기] 외국인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 사업체 [미리보기] 사업체 현황 사업체 현황 [미리보기] 종사자 현황 종사자 현황 근로여건 [미리보기] 임금 임금 [미리보기] 근로시간 근로시간 [미리보기] 만족도 만족도 [미리보기] 노동조합 노동조합 [미리보기] 일생활 균형 일생활 균형 [미리보기] 휴식 휴식 취업태도 [미리보기] 여성취업 여성취업 [미리보기] 직업선택 직업선택 건강 건강상태 및 행태 출산, 질병, 사망 의료 이용 의료 자원 코로나19 건강상태 및 행태 [미리보기] 생존년수 생존년수 [미리보기] 신체건강 신체건강 [미리보기] 정신건강 정신건강 [미리보기] 건강행태 건강행태 출산, 질병, 사망 [미리보기] 출산 출산 [미리보기] 질병 질병 [미리보기] 사망 사망 의료 이용 [미리보기] 의료서비스 이용 의료서비스 이용 의료 자원 [미리보기] 의료 인력 의료 인력 [미리보기] 의료 기관 의료 기관 코로나19 [미리보기] 증상발현 시 자택 휴식 증상발현 시 자택 휴식 [미리보기] 생활점수 생활점수 [미리보기] 코로나19 이전 대비 일상생활 변화 코로나19 이전 대비 일상생활 변화 복지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보험 [미리보기] 국민연금 국민연금 [미리보기] 건강보험 건강보험 [미리보기] 고용보험 고용보험 [미리보기] 사회보험료 부담에 대한 인식 사회보험료 부담에 대한 인식 [미리보기] 공무원연금 공무원연금 [미리보기] 사학연금 사학연금 공공부조 [미리보기] 기초생활보장 기초생활보장 [미리보기] 의료급여 의료급여 [미리보기] 기초연금 기초연금 [미리보기] 장애인연금 장애인연금 사회복지서비스 [미리보기] 사회복지 인력 및 시설 사회복지 인력 및 시설 [미리보기] 장애인복지 장애인복지 [미리보기] 아동복지 아동복지 [미리보기] 청소년복지 청소년복지 [미리보기] 여성·가족복지 여성·가족복지 [미리보기] 노인복지 노인복지 [미리보기] 사회복지에 대한 태도 사회복지에 대한 태도 정치 및 사회참여 정치참여 행정참여 사회참여 정치참여 [미리보기] 투표 투표 [미리보기] 정치진출 정치진출 행정참여 [미리보기] 공무원 공무원 [미리보기] 정책결정 참여 정책결정 참여 사회참여 [미리보기] 단체활동 단체활동 [미리보기] 자원봉사활동 자원봉사활동 사회인식 [미리보기] 사회적 이동 사회적 이동 [미리보기] 관계인식 관계인식 [미리보기] 삶의 질 삶의 질 문화 및 정보미디어 문화 및 여가활동 정보미디어 이용 문화 및 여가활동 [미리보기] 문화시설 문화시설 [미리보기] 문화생활 문화생활 [미리보기] 여가활동 참여 여가활동 참여 정보미디어 이용 [미리보기] 신문 신문 [미리보기] 컴퓨터·인터넷 컴퓨터·인터넷 안전 및 환경 안전인식 안전실태 환경 및 교통 지역환경 안전인식 [미리보기] 일상생활 안전인식 일상생활 안전인식 [미리보기] 사회 안전 인식 사회 안전 인식 [미리보기] 준법의식 준법의식 [미리보기] 환경문제 인식 환경문제 인식 안전실태 [미리보기] 범죄발생 및 검거 범죄발생 및 검거 [미리보기] 교통안전실태 교통안전실태 [미리보기] 산업재해 실태 산업재해 실태 [미리보기] 화재실태 화재실태 환경 및 교통 [미리보기] 환경인식 및 변화 환경인식 및 변화 [미리보기] 교통정책 교통정책 지역환경 [미리보기] 지역환경 지역환경 [미리보기] 거주지 만족 거주지 만족 지역환경 _

      > 경기여성가족통계 > 주제별 통계

    • 정보공개 >기본공시 >이사회

      “열린경영, 투명경영을 실천하는 경영공시”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경영에 대한 주요 정보를 경기도민에게 공개하여 경영의 투명성을 보장하고 국민의 경영참여 기회를 확대하여 고객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경영정보를 공시합니다. --> 이사회 현황 이사 12명 (당연직 3명, 선임직 9명) / • 감사 2명 (당연직 1명, 선임직 1명) (2025.03.24. 기준) 구분, 성명, 소속 및 직책, 임기, 비고로 구성 구분 성명 소속 및 직책 임기 비고 이사장 김은주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이사장 임기중('24.1.30~'26.1.29) 당연직 상임이사 김혜순 경기도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 임기중('23.7.16~'25.7.15) 이사 윤영미 경기도 여성가족국장 임기중 김재성 휴넷사회복지평생교육원 교수 '23.8.20~'25.8.19 선임직 이진련 영호남경제문화교류협의회 대표 '23.8.20~'25.8.19 한운옥 한국미래정책연구소 소장 '23.8.20~'25.8.19 고창영 원주문인협회 회장 '24.1.30~'26.1.29 김정미 대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겸임교수 '24.1.30~'26.1.29 최영옥 수원여성문화공간-휴 센터장 '24.1.30~'26.1.29 한창우 한양대학교 명지병원 교수 '24.1.30~'26.1.29 고선주 가정을건강하게하는시민의모임 대표 '25.3.24~'27.3.23 조용우 부산환경교육센터 이사 '25.3.24~'27.3.23 감사 김진효 경기도 여성정책과장 임기중 당연직 구연경 법률사무소 바른뜻 대표변호사 '23.9.7~'25.9.6 선임직 ※ 선임직 이사/감사 임기 2년(1회 연임가능) 이사회 의결실적 (2025.03.24. 기준) 회차, 개최일, 참석자, 의결내용으로 구성 회차 개최일 참석자 의결내용 제100차 2025.3.25.~3.26(서면) 12명 - 2024년도 수입·지출 결산 승인(안) 제99차 2025.2.25.~2.26(서면) 12명 - 「인사관리규정」 일부개정안 - 「복무규정」 일부개정안 제98차 2024.12.24. 8명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정관」 일부개정안 - 「직제 및 정원관리 규정」 일부개정안 - 「인사관리규정」일부개정안 - 「공무직근로자 관리규정」 일부개정안 - 2024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 - 2025년 본예산(안) - 2025년 사업계획(안) - 임원추천위원회 위원 추천 제97차 2024.10.16.~10.17.(서면) 13명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정관」 일부개정안 - 「직제 및 정원관리 규정」 일부개정안 - 2024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제96차 2024.08.26. 10명 - 「직제 및 정원관리 규정」 일부개정안 - 「인사관리규정」 일부개정안 - 「재무회계규정」 일부개정안 제95차 2024.06.24. 12명 - 복무규정 일부개정(안) - 인사관리규정 일부개정(안) - 노동이사 선임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 위원추천(안) 제94차 2024.03.29. 12명 - 2023년도 수입·지출 결산 승인(안) - 2024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 복무규정 일부개정(안) - 보수규정 일부개정(안) 제93차 2024.01.11.~01.15.(서면) 13명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정관」 일부개정(안) - 「직제 및 정원관리 규정」 일부개정(안) 제92차 2023.12.28. 10명 - 「복무규정」 일부개정(안) - 2023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 2024년 본예산(안) - 2024년 사업계획(안) 제91차 2023.10.31. 13명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정관」 일부개정(안) - 「직제규정」 일부개정(안) - 「인사관리규정」 일부개정(안) - 「무기계약근로자 관리규정」 일부개정(안) - 임원추천위원회 위원 추천 제90차 2023.8.24. 11명 - 「직제규정」 일부개정(안) - 「인사관리규정」 일부개정(안) 제89차 2023.6.29. 11명 - 2023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정관」 일부개정(안) - 「보수규정」 일부개정(안) 제88차 2023.4.20. 11명 - 임원추천위원회 위원 추천 제87차 2023.3.31. 10명 - 2022년도 수입·지출 결산 승인(안)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정관」 일부개정(안) - 경기도 아동돌봄센터 4개소 사무소 폐지 제86차 2022.12.28. 11명 - 2022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 - 2023년 사업계획(안) - 2023년 본예산(안) - 「인사관리규정」 일부개정(안) - 「보수규정」 일부개정(안) 제85차 2022.9.15. 8명 - 임원추천위원회 위원 추천 - 2022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 「복무규정」 일부개정(안) - 「보수규정」 일부개정(안) 제84차 2022.6.17. 9명 - 「인사관리규정」 일부개정(안) - 「보수규정」 일부개정(안) 제83차 2022.3.28. 7명 - 2021년도 수입‧지출 결산 승인(안) - 2022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 「인사관리규정」 일부개정(안) - 「보수규정」 일부개정(안) 제82차 2022.2.25. 12명 - 임원추천위원회 위원 추천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정관」 일부개정(안) - 「직제규정」 일부개정(안) - 「인사관리규정」 일부개정안 제81차 2021.12.22. 9명 - 2021년 제3차 추가경정예산(안) - 2022년 사업계획(안) - 2022년 본예산(안) - 인사관리규정 일부개정(안) - 임원추천위원회 위원 추천 제80차 2021.11.8. 9명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노동이사 후보 선거관리규정 전부개정(안) - 2021년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 제79차 2021.5.21. 8명 - 임원추천위원회 위원 추천 제78차 2021.3.26. 10명 - 2020년도 수입지출 결산(안) - 2021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정관 개정(안) - 「경기도 아동돌봄센터」 4개소 사무소(지점) 설치 제77차 2021.2.26. 10명 - 「경기도 아동돌봄센터」 3개소 사무소(지점) 설치 제76차 2020.12.24.~12.28.(서면) 12명 - 2020년도 제4회 추가경정예산(안) - 2021년도 사업계획(안) - 2021년도 본예산(안) - 직제규정 일부개정(안) - 보수규정 일부개정(안) - 재무회계규정 일부개정(안) 제75차 2020.11.20. 11명 -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정관 일부개정(안) - 노동이사 후보 선거관리규정 일부개정(안) - 직제규정 일부개정(안) - 인사관리규정 일부개정(안) - 무기계약근로자 관리규정 일부개정(안) - 복무규정 일부개정(안) - 재무회계규정 일부개정(안) - 감사규정 일부개정(안) - 제규정관리규정 일부개정(안) - 용역사업규정 일부개정(안) - 2020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 제74차 2020.09.02 ~ 09.03(서면) 13명 - 정관 일부개정(안) - 직제규정 일부개정(안) - 인사관리규정 일부개정(안) 제73차 2020.06.26 11명 - 2020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제72차 2020.03.30 ~ 03.31(서면) 13명 - 2019년도 수입지출 결산(안) - 2020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 인사관리규정 일부개정(안) - 복무규정 일부개정(안) - 보수규정 일부개정(안) 제71차 2019.12.26 7명 - 2019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 - 2020년 사업계획(안) - 2020년 본예산(안) - 정관 일부개정(안) - 직제규정 일부개정(안) - 인권경영 선언문 제정(안) 제70차 2019.11.20 8명 - 임원추천위원회 위원 추천 -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노동이사 후보 선거관리규정 제정(안) 제69차 2019.09.23 ~ 09.25(서면) 10명 - 19년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 정관 일부개정안, 인사관리규정 일부개정안 제68차 2019.05.21 6명 - 임원추천위원회 위원 추천 - 직제규정 일부개정(안) 제67차 2019.05.09 8명 - 임원추천위원회 위원 추천 - 직제규정 일부개정(보류) 제66차 2019.03.27 8명 - 2018년도 수입지출결산(안) - 2019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담당자 현황 구분, 부서, 담당, 연락처로 구성 구분 부서 담당 연락처 담당자 기획조정실 이현우 031-220-3935 총괄자 기획조정실 김지영 031-220-3911 감독자 기획조정실 문경희 031-220-3930

      > 기본공시 > 이사회

    • 주요업무 >정책연구 >연구과제 목록

      2025년 연구과제 목록 과년도 연구발간물 목록 (기준 : 2025.03.31) 연구과제목록 - 분야, 과제명, 연구책임, 착수기간, 완료기간으로 구성 분류 과제명 연구책임 착수 완료 성평등·여성· 고용 (11) 근현대 경기여성의 삶Ⅱ: 노동 정형옥 1 10 경기도 공무원 성별 대표성추이와과제 임혜경 2 6 AI시대 디지털 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백미연 2 8 2025년 경기도 여성폭력 실태조사 심선희 2 10 2024 경기도 성인지 통계 송리라 2 10 성인지 교육을 통한 경기도 공무원의 성인지감수성 제고 방안 연구 노경혜 4 7 경기도 돌봄노동자 실태조사 정형옥 4 11 경기도민의 성별, 연령별 성인지감수성 조사 연구 송리라 4 10 특정 성별영향평가 심선희 5 11 경기도 청년여성 정치의식과 행태 조사 백미연 5 11 경기도 성인지통계 시스템 구축 방안 송리라 6 11 가족·저출생 (4) 경기도 가족친화 직장환경 조성실태조사 이나련 1 10 경기도 입양가족 욕구 조사 및 정책 개발 연구 정혜진 2 6 저출산 시대의 1인가구 정책방향 및 지원정책 연구 양정선 2 6 2025년 경기도 가족실태조사 이나련 7 11 돌봄·보육 (4) 2025년 경기육아나눔터 운영 실태 조사 이나련 2 6 경기형 가족돌봄수당 지원사업의 성과분석 노경혜 2 6 경기도 보육교직원 권리보호 현황 및 개선방안 정혜진 4 11 맘대로 A+ 놀이터의 디지털 콘텐츠 기반 운영 및 발전 방안 연구 정혜진 5 9 아동·청소년 (3) 경기도민 아동학대 인식조사 및 아동학대예방 발전방안 연구 전민경 2 10 경기도 제2차 아동정책 기본계획(2026~2030) 수립 연구 양정선 4 10 경기도 자립준비청년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전민경 5 11 다문화·외국인 (1) 경기도 결혼이주여성 경제활동 특성과 정책 지원 방안 김영혜 2 7

      > 정책연구 > 연구과제목록

    • 주요업무 > 정책사업 > 가족교육사업팀

      가족 · 양육친화 문화 조성과 가족의 기능강화를 위해 교육과 상담, 도민 참여 및 인식개선 사업, 현장 종사자들의 역량강화 사업을 추진합니다. 아동권리 존중 및 인식 확산 아동권리 존중을 위한아동-양육자-교사(트라이앵글) 대상 맞춤형 교육과 '경기도 우리아이지킴' 브랜드를 통한 인식확산 사업을 진행합니다. 아동의 '놀 권리' 보장을 위한 도민 인식개선 교육, 놀이활동가 양성 및 아동돌봄기관 파견사업을 운영합니다. 주요 사업 경기도 아동학대예방 사업 아동 놀이문화 확산사업 가족 · 양육 친화문화 조성 양육자 교육 · 상담 및 코칭 지원으로 양육 효능감을 높이고, 남성 양육자 대상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성평등한 가족관계를 지원합니다. 주요 사업 경기도 지역양육리더 사업 경기도 아빠하이! 및 인구인식개선 사업 가족 · 양육 분야의 전문인력 역량강화 양육코칭을 위한 '지역양육리더'와 아동권리 존중을 위한 아동학대예방교육 강사 및 놀이활동가를 양성합니다. 맞춤형 교육 콘텐츠 개발과 교육으로 지역 내 전문인력의 역량강화를 지원합니다. 주요 사업 경기도 지역양육리더 사업 경기도 아동학대예방 사업 전문인재 역량강화 콘텐츠 개발 국공립어린이집 신임원장 역량강화 교육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교사 역량강화 교육 재단 교육포털 바로가기

      > 정책사업 > 가족교육사업

    • 주요업무 > 정책사업 > 정책사업실소개

      정책사업실 미션 재단 역할을 확대하는 정책사업 플랫폼 운영 핵심가치 변화 관례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봅니다. 창의 창의적인 방법으로 변화를 추진합니다. 기여 연구와 사업의 연계로 재단의 위상을 높입니다. 확장 사업 범주를 확장하여 많은 도민과 함께 합니다. 사업영역별 주요 추진방향 전략사업 경기도 여성전문가DB 구축 및 교류협력 확대 분야별 전문강사 연계를 통한 성평등․가족친화 문화 확산 유관기관 ․ 단체 교류협력을 통한 재단의 플랫폼 역할 강화 성평등 교육 ․ 문화확산 성인지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둔 교육 체계 수립과 구조화된 공무원 성인지 교육 추진 대상별 맞춤 교육을 통한 지역 젠더정책 균형 발전 도모 성별 인식격차와 갈등해소를 위한 위한 도민 대상 성평등교육 가족교육사업 성평등한 가족문화 조성 및 확산 아동학대예방 및 아동 권리존중 인식 확산 다양한 가족 형태 및 생애주기를 포괄하는 역량강화 교육 확대 가족·양육분야 특화 전문강사 양성 및 역량강화 교육

      > 정책사업 > 정책사업실 소개

    • 주요업무 > 정책연구 > 정책연구실 소개

      재단비전 이살을 행복하게, 기회를 평등하게 변화를 선도하는 여성가족정책 플랫폼 핵심가치 전문성-전략방향:정책변화에 대응하는 여성가족정책 선도 상생협력-전략방향:성평등 가치 확산과 폭력 대응 지원 체계 강화 사회적책임-전략방향:가족친화 문화 및 돌봄환경 조성 소통혁신-전략방향:지속가능한 경영체계 확립 및 사회적가치 실현 2024년 연구사업 추진방향 "도민과 함께 기회를 만드는 지역,현장 맞춤형 정책연구 추진" 추진방향 추진과제 관련 설명표 추진방향 추진과제 지역,현장 맞춤형 정책개발 정책환경 변화에 부응한 연구수요 및 정책의제 발굴 강화 실태조사 및 해외사례조사 동반 중점 연구 추진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확대를 통한 지역·현장 맞춤형 정책제언 강화 연구 외연 확장 및 경쟁력 강화 연구-사업 협업을 통한 정책연구 경쟁력 강화 유관기관 및 전문가 협업 등 연구 외연의 확장 여성가족분야 관련 통계 분석 기능 강화 연구성과 확산 및 관리 강화 연구성과 확산 및 지역사회 공유 기회 확대 연구사업 성과점검 강화 연구 및 정책정보 자료 관리 내실화

      > 정책연구 > 정책연구실 소개

  •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