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보기닫기
인기 검색어 : 2025 , 6 33 , 젠더 , 2011 , 2015 , 2019 , 2026 , 6 , o , sns 뜻

'여성친화도시' 에 대한 통합 검색 결과 총 59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게시판 검색 결과 (59건)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여성친화도시' 포천시 전 직원 대상 성인지 교육 실시 2025-07-02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여성친화도시' 포천시 전 직원 대상 성인지 교육 실시○ 공무원 성평등 정책역량 향상을 위한 포천시와 재단 간 교육 협업 추진○ 7월 중 시청 공무원 약 1,090명 대상 직급별‧유형별 맞춤형 성인지 교육 실시2025.7.1.(화) 배포

      > 언론보도 > 보도자료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20주년 기념 연구보고서 100선 2025-06-16

      경기도여성가족재단 20주년을 기념하여 지난 20년 간 발간한 연구보고서 중 100건을 선정하였습니다. 재단은 지난 20년 간 해왔던 것처럼 향후에도 성평등하고 가족이 행복한 경기도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연구보고서 100 선 (2005~2025) * 연구과제명을 선택하시면 연구소개 및 보고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 일부 수탁과제 제외 ) 연번과제연도연구과제명과제번호12005경기도 5개 주요정책의 성별영향평가정책 05-0122005경기도 공공근로사업의 성별영향평가정책 05-0532005경기여성백서 2004수탁 05-0342006경기도 가족정책기본계획 연구정책 06-0252006경기도 여성발전 5개년 계획 중간점검 및 보완책 마련정책 06-0362006경기도 여성교육훈련기관의 프로그램 분석 및 재정비 방안정책 06-0572006여성희망일터지원본부 설치 및 운영방안 연구수탁 06-0182007경기도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정책 07-0292007경기도 취업여성의 영아보육 지원방안정책 07-04102007경기도 시・군 여성정책 평가지표 개발정책 07-11112007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보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정책 07-13122007경기여성 Jump Up Plan : 제2차 경기여성인적자원개발종합계획(2008~2010)수탁 07-02132008경기도 청소년정책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08-06142008제3차 경기도 여성정책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08-19152008경기도 성별영향평가의 성과 및 추진 개선방안 연구정책 08-21162008「경기도 꿈나무 안심학교」 운영모델 개발수탁 08-03172009경기도 성차별적 자치법규 개선방안 연구정책 09-03182009경기도 가정보육교사제도 운영 개선방안 연구정책 09-06192009여성장애인 가정폭력・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운영방안 연구정책 09-09202009경기도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연구정책 09-27212009경기도 성별영향평가 과제의 정책환류 및 제도화 방안 분석수탁 09-02222010경기도 북한이탈주민 생활실태와 취업지원 방안 연구정책 10-06232010경기도 다문화가족 생활실태 및 지원정책 연구정책 10-10242010경기도 보육시설 미이용 영아 실태조사정책 10-13252010경기도 아동급식사업 평가지표 개발 및 수혜자만족도 조사정책 10-18262010결혼이민자 적합직종 및 취업연계방안 연구수탁 10-01272011경기도 저출산 대책 기본계획(2011~2015) 수립 연구정책 11-06282011경기도형 지역아동센터 모델개발 연구정책 11-08292011경기도 가정보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정책 11-11302011경기도민 여성가족정책 수요조사정책 12-053120112011년 경기도 여성발전기금 공모사업 평가수탁 11-06322012다문화가정 중도입국 자녀 초기적응 지원방안 연구정책 12-06332012북한이탈주민 인권침해 실태조사정책 12-17342012경기도 아동청소년정책 기본계획(2013~2017) 수립 연구정책 12-19352012경기도 시군 출산환경지수 개발 연구정책 12-21362012경기도 일용직 근로자 관련 정책수립 연구수탁 12-04372013제4차 경기도 여성정책기본계획(2014~2017) 수립 연구정책 13-10382013경기도 다문화가족정책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연구정책 13-11392013저소득층 자녀 생활장학금 지원사업의 효율적 운영방안정책 13-13402013경기도 가정폭력 가해자 교정・치료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정책 13-174120132013년 경기도 청소년활동 우수프로그램 공모사업 평가수탁 13-02422014경기도 지역특성을 고려한 특성화가족사업 발굴정책 14-05432014경기도 사업체 여성일자리 수요조사정책 14-25442014경기도 “일하기 좋은 기업” 근로자의 일-가족 양립 의식 조사정책 14-31452014경기도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해아동 보호체계 구축 방안정책 14-36462014경기도 농촌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한 연구수탁 14-04472015경기도 어린이집 다문화교육 실태조사정책 15-13482015경기도민의 폭력 허용태도 조사정책 15-17492015「양성평등기본법」 시행에 따른 경기도 여성정책 추진방향 연구정책 15-23502015제3차 경기도 저출산대책 기본계획(2016~2020) 수립 연구정책 15-325120152015년 의정부시 성인지 통계수탁 15-02522016경기도 청소년 자살 현황과 대응방안정책 16-04532016청년여성 '일 경험' 실태조사정책 16-09542016성매매여성의 탈성매매과정 연구정책 16-13552016경기도 보육재정 효율화 방안 연구정책 16-20562016여성친화도시조성을 위한 양성평등정책 중장기계획 수립수탁 16-09572017경기도 감정노동자 규모추정 및 현황 분석정책 17-02582017경기도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17-08592017경기도 영유아 인성교육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17-20602017경기도 비정규직 고용개선 종합계획(2018~2022) 수립 연구정책 17-31612017제1차 경기도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2018~2022) 수립 연구정책 17-47622017경기도 감정노동자 고용현황 및 노동환경 실태조사수탁 17-03632018경기도 1인 가구 삶의 질 연구정책 18-23642018경기도 시군 성평등 관리지표 개발 연구정책 18-28652018지역중심의 인구정책 추진을 위한 출산친화 환경 실태조사 정책 18-31662018경기도 성인지예산 운영 개선방안 연구 : 2017 경기도 성인지예 ・ 결산서 분석을 중심으로 정책 18-326720182018년 아동청소년 성매매의 특성분석 및 종합적 지원방안 연구수탁 18-07682019경기도형 돌봄체계 구축 방안정책 19-02692019경기도민의 차별과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 연구정책 19-15702019경기도 학교 밖 청소년 규모추정 및 현황 분석정책 19-17712019경기도 젠더폭력방지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19-19722019경기도 스포츠인권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수탁 19-02732020경기도 공공형 아동학대 대응모델 개발 연구정책 20-01742020경기도민 다문화수용성 연구정책 20-08752020경기도 아동정책 기본계획(2021~2025) 수립 연구정책 20-15762020경기도 기지촌여성 생활 실태 및 지원정책연구정책 20-187720202020년 화성시 맞춤형 인구정책 계획수립 연구수탁 20-067820212021년 경기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정책 21-02792021경기도 가족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정책 21-03802021포스트 코로나시대, 여성가족정책 변화와 미래정책 21-06812021경기도 시군 성평등정책 추진기반 강화 방안 연구정책 21-11822021성남시 여성친화도시 2단계 조성 중장기 발전계획(2022~2026)수탁 21-09832022경기도 1인가구 정책 기본계획(2023~2027) 수립 연구정책 22-05842022경기도민의 가족다양성 인식조사정책 22-06852022경기도 내 소규모 사업장 성희롱 실태조사정책 22-10862022제4차 경기도 중장기 보육발전계획(2023-2027) 수립 연구정책 22-19872022제2차 경기도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2023~2027) 수립 연구정책 22-20882022일ㆍ생활 균형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수탁 22-05892023경기도민 성평등 의식 및 실태 조사정책 23-07902023가사서비스 제도화에 따른 경기도 노동시장 실태 분석정책 23-09912023경기여성사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정책 23-18922023경기도 학대피해아동의 보호조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정책 23-20932023인구감소시대, 다문화가족 정책수요와 중장기 정책방안 연구수탁 23-03942024경기도 은둔형 청소년 지원방안 연구정책 24-02952024경기도 시·군 가족센터 운영 실태 및 발전방안정책 24-06962024경기도 가정위탁보호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정책 24-09972024데이트폭력 예방교육 현황 및 강화방안정책 24-11982024경기도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실태조사정책 24-13992024경기도 여성 자영업자 노동환경 실태조사 정책 24-141002024과천시 보육정책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2025~2029)수탁 24-03

      > 홍보관 > 경영성과보고서

    • [뉴스레터 제 197호]「2022년 젠더공감 나우 now 2기」 나부터, 우리부터 참여자 모집 2022-09-15

      2022 「경기도 가족 다양성 지원사업」나다움 아카데미 참여자 모집 여성 중장년 1인가구 대상 교육프로그램 '나다움 아카데미' 참여자 20명을 선착순 모집합니다. 경기도에 거주 또는 생활하는 만40세~59세 여성 1인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되는데요. 나에 대한 이해에서부터 맞춤형 건강관리까지 이론과 실습 3강(9시간) 과정이 진행됩니다. V 일정: 9월 17일(토), 20일(화), 24일(토) ※ 3회 모두 참여 V 장소: 부천시여성회관 V 문의: 031-220-3992(가족교육사업팀) 자세히 보기 2022 「경기도 가족 다양성 지원사업」자동차 심화 워크숍 참여자 모집 여성 1인가구 대상 교육프로그램 '자동차 심화 워크숍' 참여자 40명을 선착순 모집합니다. 경기도에 거주 또는 생활하는 여성 1인가구(예비 1인가구 포함)를 대상으로 진행되는데요. 자동차 기본상식 및 운전상식, 사고유형 및 처리요령 중심의 이론과 소모품 교체 및 자가 정비 실습이 포함된 3강(9시간)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V 일정: 10월 13일(목), 20일(목) / 온라인 10월 22일(토) / 오프라인(경기도여성가족재단) V 문의: 031-220-3926(가족교육사업팀) 자세히 보기 [경기WiFi 307호] 임금 불평등 해소를 위한 첫걸음, 성평등임금공시제 오늘날 임금이란 기본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한 수단임과 동시에 주거, 교육, 건강, 문화, 안전, 노후 등 개인의 생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즉 성별에 따라 임금의 차이가 발생한다면 이는 성별에 따른 삶의 질 전반에 차이를 가져오게 되는 것입니다.WiFi에서는 성평등임금공시제의 배경, 필요성, 사례 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경기WiFi 308호] 경기도민의 '어떤 가족'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어느 가족'에서는 어떤 혈연도, 법적인 관계도 존재하지 않는 6명이 함께 살아가는 모습이 그려집니다. 때로는 불법적이고 비도덕적인 형태로 살아가는 그들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경찰의 취조를 받게 됩니다. '그래서 아이들은 당신을 뭐라고 불렀죠?'라고 물어보는 경찰의 질문을 받은 주인공은 어떤 대답도 하지 못하고 눈물만 흘리는데요.우리는 이들을 가족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요? 여러분은 가족을 무엇이라 정의하고 계신가요? WiFi에서는 경기도민이 생각하는 가족 인식에 대해 살펴봅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비대면 직업교육훈련 현황과 과제: 경기도 여성새일센터를 중심으로 여성새로일하기센터를 중심으로 비대면 직업교육훈련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비대면 직업교육훈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합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경기도 여성친화도시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경기도는 남북부 간 여성친화도시 조성에 대한 관심의 차이, 경기도의 친화도시 조성에 대한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 증대, 그리고 기초지자체의 사업추진 어려움이 축적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연구는 경기지역의 여성친화적 지역환경조성과 여성친화도시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경기도 1인가구 정책 기본계획(2023~2027) 수립 연구 재단의 「경기도 1인가구 정책 기본계획」은 다양한 특성을 가진 도내 1인가구 현황과 정책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경기도의 1인가구 정책의 기본방향과 세부과제를 제안하고 있습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본 메일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보내드리는 발신전용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16207)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 (파장동 179) 신관 2층 | 대표전화 : 031) 220-3900 Copyrightⓒ gwff. All rights reserved.

      > 재단 간행물 > 재단 소식지

    • [뉴스레터 제 195호]지속가능한 생태지역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2-08-16

      2022 「경기도 성평등한 직장문화 만들기」“일터를 바꾸는 우리의 약속 캠페인” V 참여기간 : 7~11월 ※ 45개 사업장 선착순 마감 V 대상 : 도내 30인 미만 사업장 사업주, 관리자,노동자 V 방법 ① 캠페인 참여 신청서 제출 ② 약속문 작성, 동참 서명 후 기관에 비치한 사진 제출 V 혜택 : 인원수대로 기프티콘 지급 자세히 보기 2022 「경기도 성평등한 직장문화 만들기」“일터를 바꾸는 관리자의 약속 특강” V 참여기간 : 8~11월 ※ 15개 사업장 선착순 마감 V 대상 : 도내 30인 미만 사업장 사업주와 관리자 V 특강내용 : 고용상 성평등 / 일·생활균형 / 성평등 언행 등 방법 ① 특강 신청서 제출 ② 참여자 실천 약속문 작성 V 혜택 : 기프티콘 지급, 사업장 홍보 카드뉴스 제작 자세히 보기 가정폭력 예방의 날, '보라데이'를 아시나요? '보라데이'는 여성가족부에서 지정한 가정폭력 예방 캠페인으로, 2014년 8월8일부터 매월 8일 진행됩니다. '보라'는 '보다'의 영어표현인 'LOOK'의 'OO' 모양처럼 '8'을 옆으로 눕혀 보면 쌍안경 모양인데요. 이 모양에서 착안해 매월 8일을 보라데이로 지정했습니다. 가정폭력에 대해 관심을 갖고 적극적인 시선으로 주변을 살펴 폭력을 예방 및 피해자 조기발견을 위해 노력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경기WiFi 304호] 식세기, 건조기, 로봇청소기…3대 이모님이라구요? '3대 이모님'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가사를 도와주는 식기세척기, 건조기, 로봇청소기를 통칭하는 말로 요즘 신혼가전 필수품이라고 합니다. 언뜻 참신하고 재미있어 보이는 이 비유가 어떤 부분에서 문제적인지, '여성노동과 호칭'이라는 주제를 통해 살펴봅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경기WiFi 305호] 모두에 의한, 모두를 위한 돌봄공동체 '요람에서 무덤까지' 우리는 모두 돌봄 속에서 살아갑니다. 그런데 아동이나 노인은 언제나 돌봄을 받기만 하는 사람들일까요? 일방적 수혜자에서 벗어나 서로 함께하며 상호돌봄의 가치를 실현하고 공동체를 이루어가는 사례가 있습니다. 세대 간 돌봄을 실현하고 있는 국내외 사례들을 소개합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경기도 여성인력개발센터운영실태 분석 및 발전방안 경기도 여성인력개발센터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로, 특히 센터 평가제도 도입 필요성과 비대면 사업 운영 방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습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경기도 평화교류협력사업의 여성참여 확대 방안 경기지역 여성들이 추진할 수 있는 남북교류협력 의제를 발굴하고, 제도적 과제를 모색하는 연구입니다. 경기도 남북교류 및 평화통일사업의 여성참여 확대에 대한 개념, 여성참여 확대 방안과 여성이 주도하는 남북교류협력 사업들을 살펴봅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해외의 여성친화도시 정책사례: 캐나다를 중심으로 2021년 세계경제포럼의 성격차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는 156개국 중 24위로 상위권입니다. 이슈분석에서는 캐나다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여성친화도시정책 시사점을 살펴봅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아동학대 예방과 아동권리인식을 위한경기도 부모교육 현황 및 정책 시사점 도내 아동학대 원인 및 경기도민 아동권리인식 현황, 학대예방 및 아동권리 인식을 위한 부모교육 실태​를 살펴보고 시사점과 경기도 정책방향을 제안합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본 메일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보내드리는 발신전용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16207)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 (파장동 179) 신관 2층 | 대표전화 : 031) 220-3900 Copyrightⓒ gwff. All rights reserved.

      > 재단 간행물 > 재단 소식지

    • [뉴스레터 제 194호]2022년 지역여성 역량강화 교육 영상보고! 선물 받자! 2022-08-01

      2022년 지역여성 역량강화교육- 김포시 여성친화도시 시민참여단 교육 '여성친화도시'는 지역정책에 남성과 여성이 평등하게 참여해 안전과 돌봄 등이 구현되도록 운영하는 도시를 말하는데요.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꼭 필요합니다. 김포시 '여성친화도시 시민참여단'과 함께한 교육 현장에 함께 가보실까요? 지역여성 역량강화 교육 홍보 영상 도민 대상 찾아가는 성인지교육- 단편영화로 키우는 성인지 감수성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지역 간 성평등 격차 및 세대·성별 간 인식차이를 줄이기 위해 '찾아가는 성인지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요. 그 중 수원시립미술관에서 진행한 성인지 교육 현장을 생생하게 담아왔습니다. 함께 보러 가실까요? 도민 대상 찾아가는 성인지 교육 홍보 영상 「모두를 위한 홍보물 제작 가이드북」 경기도 성평등 홍보물 길라잡이 성평등한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해 경기도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홍보물 담당자와 제작자가 성인지 관점으로 홍보물을 점검할 수 있는 업무지침서를 제작하였습니다. 자세히 보기 「어느 보통날」경기도 청년세대 여성주의 소모임 모집 경기도여성가족재단과 '청년세대의 젠더갈등 양상과 해소 방안'에 대해 논의할 청년세대 여성주의 소모임을 모집합니다. 자세히 보기 2022 「경기도 성평등한 직장문화 만들기」“일터를 바꾸는 우리의 약속 캠페인” 참여기간 : 7~11월 ※ 45개 사업장 선착순 마감 대상 : 도내 30인 미만 사업장 사업주, 관리자,노동자 방법 ① 캠페인 참여 신청서 제출 ② 약속문 작성, 동참 서명 후 기관에 비치한 사진 제출 혜택 : 인원수대로 기프티콘 지급 자세히 보기 2022 「경기도 성평등한 직장문화 만들기」“일터를 바꾸는 관리자의 약속 특강” 참여기간 : 8~11월 ※ 15개 사업장 선착순 마감 대상 : 도내 30인 미만 사업장 사업주와 관리자 특강내용 : 고용상 성평등 / 일·생활균형 / 성평등 언행 등 방법 ① 특강 신청서 제출 ② 참여자 실천 약속문 작성 혜택 : 기프티콘 지급, 사업장 홍보 카드뉴스 제작​ 자세히 보기 [경기WiFi 303호] 경기 WiFi 상반기 이슈는?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매주 여성가족분야 정책이슈와 동향을 소개하는 온라인 매체 '경기WiFi'(Women Issue&Family Issue)를 발간하는데요.상반기 중 발간한 21건의 WiFi를 함께 살펴봅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남성 육아휴직자의 육아휴직 경험 및 제도 개선 방안-경기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 발굴된 시사점은 향후 공무원 육아휴직제와 민간기업의 육아휴직제 모두에 유의미한 함의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공공의 특성과 민간의 특성을 모두 가진 조직인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남성 육아휴직 실태와 경험을 연구하여 남성 육아휴직 활성화 및 제도개선의 정책적 함의를 발견하고자 합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경기도 아동돌봄 사회적경제조직의 사회적 가치 평가지표 개발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 방식으로 운영되는 아동돌봄시설이 일반 아동돌봄시설과 차별화된 측면에서의 사회적 성과를 보여줄 수 있도록 경기도 아동돌봄 사회적경제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한 사회적 가치 평가지표 개발을 목적으로 합니다. 원문 보기 포스팅 보기 본 메일은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보내드리는 발신전용 이메일 서비스입니다. (16207)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 (파장동 179) 신관 2층 | 대표전화 : 031) 220-3900 Copyrightⓒ gwff. All rights reserved. -->

      > 재단 간행물 > 재단 소식지

    • '해외의 여성친화도시 정책사례 : 캐나다를 중심으로' 이슈분석 발간 2022-07-27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여성친화도시 정책목표는 지역 성평등실현 … 지역정책의 여성참여확대 방안 고민필요”]○ 재단, '해외의 여성친화도시 정책사례 : 캐나다를 중심으로' 이슈분석 발간- 캐나다 성평등수준은 156개국 중 24위(2021년 세계경제포럼 성격차보고서)- 캐나다의 성인지 참여예산 의무화, 정책결정기구에 남녀동수 구성 등 참고해야- 보도일시 : 2022.7.26/(화)

      > 언론보도 > 보도자료

    • [정책과제] 경기도 여성친화도시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2022-07-01

      1111

      > 연구보고서 > 정책연구

  •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