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으로 한 걸음 더 따뜻한 경기, 경기도여성가족재단
모두보기닫기

현안과제 2025-06-30

경기도 입양가족 욕구조사 및 정책개발 연구

  • 연구책임 : 정혜진
    연구지원 : 이범진, 황나리
  • 발간일자 : 2025-06-30
  • 조회수 : 460

<목적>

아동을 양육하고 보호할 1차적 의무는 부모에게 있으나, 부모가 이를 거부하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함. 이러한 경우, 아동은 다른 가정에 일시 위탁되어 보호받거나, 새로운 가정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입양되기도 함(정혜진, 2025). 2023년 기준, 보호대상아동 중 입양을 통해 가족을 이룬 아동은 162명임. 2015년에는 보호대상아동 4,503명 중 5.3%인 239명이 입양되었으며, 2023년에는 보호대상아동 1,746명 중 9.28%인 162명이 입양된 것으로 나타남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연구내용
나. 연구방법
3. 연구절차

제2장 국내입양 관련 현황 및 정책
1. 국내입양 관련 현황
가. 국내 입양 현황
나. 보호대상아동 입양현황
다. 경기도 입양 현황
라. 국내입양 통계의 한계 및 시사점

2. 국내입양 지원 정책
가. 국내입양 관련 법・제도
나. 국내입양 지원 사업

3. 선행연구 검토

제3장 경기도 입양가족 욕구 조사결과
1. 설문조사
가. 설문조사 개요
나. 설문조사 결과

2. 초점집단면접조사
가. 초점집단면접조사 개요
나. 초점집단면접조사 결과

3. 소결

제4장 결론
1. 연구결과 논의

2. 정책제언
가. 입양아동의 초기 건강평가 및 양육 지원 체계 구축
나. 입양아동을 위한 전문상담 지원체계 강화 및 서비스 선택권 보장
다. 연령 및 발달 특성별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개발
라. 입양가족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지원
마. 입양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지원 체계 구축
바. 입양가족의 보편적 가족지원 정책 수혜 보장을 위한 제도 정비
사. 입양대상 아동 권리 기반 한 경기도 보호체계 구축 

목록

모두보기닫기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