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으로 한 걸음 더 따뜻한 경기, 경기도여성가족재단
모두보기닫기

정책과제 2024-11-29

근현대 경기 여성의 삶 Ⅰ : 여성교육과 주체의 성장

  • 연구책임 : 임혜경
    공동연구 : 이숙화,금보운,엄상미
    연구지원 : 백소운
  • 발간일자 : 2024-11-29
  • 조회수 : 1057

<목적>

본 연구는 근대 이후 경기지역 여성교육이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 발전해 왔는지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개항 이후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여성교육을 시작으로 여성교육기회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고, 여성교육 이념은 무엇이었는지, 여성교육을 통한 여성 주체의 성장과 여성의 삶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연구하고자 함.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근대여성교육의 태동과 여학교 설립(개화기~일제강점기:1876-1945)
 1. 역사적 배경과 문제의식
 2. 개화기 여성교육론과 종교계의 여학교 설립
 3. 통감부의 여성교육정책과 사립학교 규제
 4. 일제강점기 여성교육정책과 여성들의 대응
 5. 소결

제3장 교육과정 개편과 경기지역 여학생 교육(1945~1960년)
 1. 시대적 배경
 2. 해방 이후 학제 개편과 여성교육 인식
 3. 경기지역 여학교 교육의 성격과 역할
 4. 소결

제4장 여성교육 지평확대와 산업화(1961-1980)
 1. 여성의 중등교육기회 변화
 2. 여학교 설립과 여성교육
 3. 산업화와 여성교육
 4. 소결

제5장 여성교육의 확장과 주체의 성장(1981~1999)
 1. 사회변화와 여성교육
 2. 여성교육의 확장과 변화
 3. 대학교육과 여성 주체의 성장
 4. 소결

제6장 결론
 1. 지역 여성교육의 특징
 2. 향후 과제


목록

모두보기닫기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