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여성가족자료실 > 연구보고서 > 정책연구
현안과제 2022-12-31
♧ 목적
우리나라는 최근의 사회변화 과정에서 나타난 사회문제 해결의 대안으로서 정책적으로 마을공동체를 활성화하려는 흐름이 지속되고 있음. 그러나 정부도 시장도 아닌 제3의 대안모델이라는 점과 정책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최근 우리나라의 마을공동체는 지속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이 과정에서 여성 참여를 주목하는 이유는 그동안 자생적・자발적 공동체이건 정부지원 공동체이건 마을공동체 활동에서 여성 참여는 두드러져왔고 중요한 사회참여 통로가 되고 있기 때문임.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여성 참여 마을공동체 사례를 유형화 하고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각 유형별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대상 및 범위
3. 연구내용 및 방법
제2장 이론적 논의 및 현황
1. 마을공동체의 개념 및 유형
2. 선행연구 검토
3. 경기도 마을공동체 현황
제3장 경기도 마을공동체 참여 실태 및 정책수요
1. 경기도 마을공동체 참여 실태
2. 경기도 마을공동체 참여 사례 및 정책수요
제4장 논의 및 제언
1.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2. 정책적 제언